유튜브, 네이버도 포기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이젠 이별을 준비할 때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IE)는 PC 이용자들에게 있어 애증의 대상이다.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지적, 보안성이 떨어진다는 지적, 혹은 액티브X로 대표되는 비표준 기술을 남발해 웹 표준 확립에 악영향을 준다는 지적 등을 받곤 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1995년에 처음 등장한 이후 20여년 이상 가장 많이 쓰이는 웹 브라우저의 자리를 지켜왔다.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데다 상당수의 웹 사이트들이 인터넷 익스플로러 외의 환경에서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 |
하지만 시대는 변했다. 시장 데이터 취합 전문 서비스인 스탯카운터(statcounter)의 2020년 1월 모든 플랫폼(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합계 기준, 국내 점유율 1위 웹 브라우저는 구글의 크롬으로, 그 비율은 55.71%에 달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경우, 고작 7.57%의 점유율로 4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12.1%)는 물론, 애플 사파리(12.09%) 보다도 인기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
PC 플랫폼 한정으로 집계하더라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점유율은 14.77%로 크롬(70.95%) 보다 훨씬 점유율이 낮으며, 국내가 아닌 세계 전체 지역으로 집계범위를 확대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시장 점유율은 더욱 낮아진다. 누가 봐도, 어떻게 봐도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퇴출’ 단계를 밟고 있음이 분명하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퇴출 이유는 몇 가지를 들 수 있다. 가장 큰 중 이유 하나는 웹 플랫폼의 중심이 윈도우 운영체제 기반의 PC에서 안드로이드, iOS 운영체제 중심의 모바일 기기로 옮겨진 것이다. 특히 이용빈도 면에서 스마트폰이 PC를 능가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크롬, 사파리의 이용량 역시 급격히 증가했다.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대한 지원을 축소하고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95 후반기 시절부터 줄곧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본 웹 브라우저로 기본 탑재되었지만 2004년에 출시된 윈도우10 부터는 기본 웹 브라우저가 마이크로소프트 ‘엣지(Edge)’로 교체되었다. 엣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아이콘 모양만 비슷할 뿐, 전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구동엔진이 완전히 다른 별개의 소프트웨어다. 윈도우10에도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탑재되긴 했지만 기본 화면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이를 이용하려면 일부러 내부 메뉴로 들어가 이를 꺼내야 한다.
기능적으로 다른 웹브라우저에 비해 불리하다는 점 역시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퇴출을 부추기고 있다. 현재 이용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11 버전은 2013년에 첫 출시되었다. 소소한 업데이트는 제공하고 있지만 이렇다 할 큰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다른 웹 브라우저에 비해 기능 및 성능이 뒤떨어지는 건 당연하고 보안 면에서도 불안하기 그지없다.
![]() |
이런 상황이다 보니 웹 서비스 업체들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지원을 점차 축소하고 있다. 몇 년전 까지만 해도 상상하기 힘들었던 광경이다. 최근 유튜브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서비스를 접속하는 이용자 대상으로 '이 브라우저는 곧 지원 중단됩니다. 최적의 환경을 위해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보여주며 크롬, 엣지,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의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 |
국내 최대의 웹 포탈 서비스인 네이버 역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접속자 대상으로 ‘현재 사용 중인 브라우저는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내보내며 자사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웨일’을 설치할 것을 권하고 있다. 앞으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유튜브나 네이버를 이용할 때 새로 추가된 기능이 제대로 구동하지 않거나 화면 일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등의 불편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때 시장 점유율 80~90%를 넘나들며 웹 브라우저의 대명사로 통하던 인터넷 익스플로러였지만 이젠 슬슬 사용자들과 이별을 고할 때가 되었다. 특히 모바일 플랫폼의 이용자 증가 및 웹 서비스의 고도화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퇴출 움직임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글 / IT동아 김영우(pengo@itdonga.com)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