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20대 후반, 세계서 가장 취업 어려웠다…무기한 취준생 신세
실업자 25~29세 비중, 한국이 9년째 압도적 OECD 1위
코로나19로 20대 초반서 후반으로 점차 전이
우리나라 전체 실업자 가운데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이 9년째 세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취업 적령 청년층의 고통은 이번 코로나사태로 더 가중되고 있다.
2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15~64세 실업자 수는 97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25∼29세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1.9%로, OECD 37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2위는 아이슬란드(21.3%), 3위는 덴마크(20.5%)였다. OECD 평균 14.7%를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미국은 13.7%, 일본은 13.6%, 프랑스는 14.4%에 그쳤다.
우리나라 생산연령인구(15~64세) 가운데 20대 후반은 9.3%에 불과하지만, 실업자 다섯명 중 한명은 20대 후반일 정도로 실업 문제는 이들에게 집중돼 있다.
한국은 2011년부터 9년째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 OECD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2010년까지만 해도 슬로베니아가 21.8%로 1위였고, 한국은 21.7%로 이보다 낮았다. 슬로베니아는 글로벌 금융위기 속에 경제가 역성장한 영향으로 불명예를 얻었지만 이내 다시 개선 추세를 보여 지난해 11위까지 떨어졌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20%대를 웃돌며 가장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연령대인 탓에 실업자가 많은 것은 일반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현상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 20대 후반은 1990~1994년생으로 마지막 에코세대로 분류된다. 6.25전쟁 이후 대량 출산으로 태어난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의 자녀세대로 '한 자녀 낳기' 출산 정책의 중단과 맞물린 영향으로 이때 연간 출생아 수는 모두 70만명을 웃돌았다. 60만명대를 기록했던 앞선 세대보다 인구가 많다.
구조적인 문제와 맞물려 이번 코로나19 때도 취업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달 25~29세 고용률은 67.4%로 1년 전보다 3.2%포인트나 급락했다. 전체 고용률 하락폭(-1.3%포인트)을 크게 웃도는 것은 물론, 4월(-1.8%포인트)보다도 하락폭이 더 커진 것이다.
같은 20대지만 20~24세 고용률은 4.0%포인트 떨어졌던 4월에 비해 5월엔 하락폭(-1.8%포인트)이 절반 이하로 축소됐다. 상대적으로 아르바이트생이 많은 20대 초반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며 고용 사정이 나아지는 반면, 정식 취업을 앞둔 20대 후반은 고용 상황이 계속 악화하는 것이다.
한편 전체 실업률이 역대 최고치(4.5%)를 찍은 지난달, 20대 후반의 실업률(9.2%)은 변동이 없었다. 아예 취업준비로 구직활동을 하지 못했던 20대 후반 비경제활동인구가 여전히 구직을 시도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2018년부터 20대 후반 고용은 비교적 긍정적 추이를 보여왔다"며 "하지만 올 5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그 영향이 단기 알자리서 비교적 안정적인 일자리로 전이됐고, 20대 초중반보단 후반 세대가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근로의욕을 유지할 수 있게 구직활동지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하고, 기업에 인건비 보조금을 지원해 민간 채용 수요를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헤럴드경제=정경수 기자] kwat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