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분 하나로 내 방에서 만나는 ‘작은 아프리카’
희귀식물에 빠진 사람들
인도네시아·타이 등서 들여와
키우기 까다로울수록 성취감 ↑
얼마나 독특한 잎 나올지 기대
여러 종 섞은 변종에 더 환영
2년 전 희귀식물을 전시·판매하는 카페를 차린 정지연씨가 식물을 정성스럽게 관리하고 있다. 염서정 스튜디오 어댑터 |
“잎맥이 꼭 부드러운 벨벳 소재 같죠? 그러다가도 햇빛이 비추면 반짝반짝 보석같이 빛나요. 예상치 못하게 새잎에 민트색이나 분홍색, 노란색이 선물처럼 묻어나올 때는 얼마나 기쁜지 몰라요. 안 그래도 귀한 식물이 더 귀해지는 순간이죠.”
지난 6일 찾은 경기도 부천시에 있는 희귀식물 카페 ‘에이프’. 아이 얼굴만큼 커다란 크기의 잎에 뚜렷한 잎맥이 특징인 열대 관엽식물 ‘안스리움(앤슈리엄) 크리스탈호프’를 돌보는 카페 주인 정지연(42)씨의 손길이 아기 다루듯 조심스러웠다.
카페 ‘에이프’ 전경. 염서정 스튜디오 어댑터 |
2년 전, 희귀식물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카페를 차린 정씨는 벌써 10년 가까이 희귀식물을 수집해온 자타 공인 ‘희귀식물 마니아’다. 특히 그중에서도 관리가 까다롭다는 열대 관엽식물에 푹 빠져 있다. 우연히 인터넷에서 한 식물대회에서 1등 한 ‘칼라데아(칼라테아) 퓨전화이트’ 사진을 본 게 이 세계에 발을 들인 계기가 됐다.
“초록 잎에 새겨진 독특한 흰무늬에 첫눈에 반했어요. 수소문 끝에 그 식물이 있다는 농장을 겨우 찾아갔는데 워낙 귀한 거라 돈 주고도 살 수 없었어요. 빈손으로 돌아오면서 너무 속상했죠. 그날 이후 희귀식물들을 더 열정적으로 찾아다니게 됐어요. 희귀한 식물이 있다는 소문이 들리면 어디든 찾아갑니다.”
2년 전 희귀식물을 전시·판매하는 카페를 차린 정지연씨가 식물을 정성스럽게 관리하고 있다. 염서정 스튜디오 어댑터 |
2년 전 희귀식물을 전시·판매하는 카페를 차린 정지연씨가 식물을 정성스럽게 관리하고 있다. 염서정 스튜디오 어댑터 |
2년 전 희귀식물을 전시·판매하는 카페를 차린 정지연씨가 식물을 정성스럽게 관리하고 있다. 염서정 스튜디오 어댑터 |
중학교 미술 교사였던 정씨의 삶은 희귀식물을 만나고 크게 달라졌다. 그는 교사 생활을 접고 희귀식물 카페에 전념하고 있다. 직접 인도네시아와 타이 등지의 현지 식물판매상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섰다. 찢어진 듯한 잎 모양이 특징인 ‘몬스테라 보르시지아나 알보’, 초록 잎의 얼룩무늬가 인상적인 ‘아글라오네마 픽텀’처럼 국내에 드물던 희귀식물들을 본격적으로 들여오기 시작했다. 요즘도 정씨가 식물들을 보관하는 카페 옆 한동짜리 온실 앞에는 ‘신상 희귀식물’을 누구보다 먼저 키워보려는 마니아들로 긴 줄이 늘어선다.
“희귀식물들은 습도와 온도에 예민해 키우기가 참 까다로워요. 어렵게 구한 식물 잎이 한순간에 마르거나 찢어지기도 하죠. 웬만한 정성으로는 아무나 멋지게 키워낼 수 없다는 점이 오히려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키고 성취감을 주는 것 같아요.”
정씨는 얼마 전 인도네시아에서 박쥐 날개처럼 생긴 희귀식물을 들여와 우리나라 흙에 적응시키는 ‘순화’ 과정에 한창이다. “새순이 보일 때마다 이번에는 어떤 독특한 무늬를 내어줄까, 잎이 어떻게 더 낯선 모양으로 자라줄까 기대감이 커요. 매일 아침, 설레는 마음으로 식물을 돌보는 게 일상의 큰 기쁨입니다.”
독특한 모양의 희귀식물은 보기만 해도 신비롭다. 이주현씨는 특이한 식물을 많이 기른다. 사진 이주현 제공 |
나만의 자연 가꾸기
인간은 본능적으로 ‘초록색 자연’을 가까이할 때 행복과 평안을 느낀다고 한다. 미국 하버드대 생물학과 교수이자 사회생물학자인 에드워드 윌슨은 저서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서 이런 ‘녹색 갈증’이 해소되지 않으면 사람은 스트레스와 우울함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희귀식물 키우기’는 이런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면서도 큰 성취감을 안겨주는 매력이 있다는 게 마니아들의 설명이다.
바쁘고 힘든 직장생활에 지쳤던 이주현(37)씨는 “나만의 작은 자연을 가꾸고 싶다”는 생각에 처음 ‘식집사’(식물을 반려동물처럼 소중히 돌보는 사람들을 뜻하는 신조어)의 세계에 발을 들였다. 편안한 집에서 초록빛 식물을 보며 마음의 위안을 얻고 싶었다. 하지만 바쁜 일상에 제때 물을 주거나 볕을 쏘여주지 못해 식물들이 말라 죽기 일쑤였다. 그때 ‘극한의 환경’에서도 잘 자란다는 아프리카 희귀식물을 처음 알게 됐다. 하나같이 난생처음 보는 독특한 겉모습에 은근히 매료됐다.
이주현씨가 키우는 희귀식물. 사진 장선희 |
이주현씨가 키우는 희귀식물. 사진 장선희 |
“아프리카 식물은 구근에 영양분을 저장해두기 때문에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고, 관리가 쉬워요. 특히 아프리카 선인장 종류는 봄과 여름에만 꽃을 피우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식물들과 달리 가을에도 화려한 꽃을 피우죠. 바깥에선 꽃이 지는 계절에 제집에선 오히려 꽃이 피는 봄 기분을 만끽할 수 있답니다.”
순수한 취미생활로 시작했던 희귀식물 수집은 점점 규모가 커져 얼마 전에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에 작은 농장도 열었다. “아프리카 식물을 수집하고, 공부할수록 더 깊게 빠져들게 돼요. 하나둘 종류를 늘려 모으다 보니 집이 점점 좁아지고, 그러다가 근처 농장을 한 귀퉁이를 임차해 식물들을 보관했었죠. 이제는 더 넓고 좋은 환경에서 희귀식물들을 키우고 싶어 제 농장까지 열게 됐습니다.”
이주현씨가 키우는 희귀식물. 사진 장선희 |
이주현씨가 키우는 희귀식물. 사진 장선희 |
아프리카 식물의 경우 일반 식물에 비해 성장 속도가 더디고, 크기가 비교적 작다는 게 장점이라고 이씨는 설명한다. 바오바브나무처럼 생긴 그락실리우스(그라킬리우스), 자라면서 모양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브레비카울레, 파인애플 껍질처럼 단단하고 거친 외형이 특징인 파키푸스 등이 요즘 마니아들에게 사랑받는 아프리카 희귀식물들이다. 이들은 한뼘 남짓 작은 화분에서도 키울 수 있는 아담한 크기지만, 마치 커다란 나무를 그대로 축소해둔 듯한 멋진 나무 형태를 감상할 수 있다.
“요즘 거주 비용도 워낙 많이 들다 보니 식물에게 내어줄 공간이 부족하잖아요. 아프리카 식물은 크기는 작아도 집에서 커다란 나무 한그루를 키우는 것 같은 큰 만족도를 느끼게 해요. 내 방에서 매일 작은 아프리카를 만나는 거죠.”
‘변종’이 환영받는 분야
희귀식물을 키우는 김민서씨 방 모습. 사진 장선희 |
피아노학원을 운영하는 김민서(41)씨는 ‘식물요정’이라는 닉네임으로 인스타그램 계정을 운영하며 희귀식물을 키우는 일상을 공개하고 있다. 김씨는 독특한 외모에 반해 희귀식물을 사 모으다가 아예 자신의 방 한편을 식물들 공간으로 꾸몄다. 40~60%의 높은 습도를 늘 유지하기 위해 매일 가습기를 가동하고 아침에 눈뜨자마자 식물 앞에 서서 분무기로 물부터 준다. “웬만한 아기 돌보는 것보다 손이 많이 가는 게 희귀식물 키우는 일”이라는 게 김씨의 말이다. 넥타이처럼 잎이 길게 축 늘어지며 자라는 비타리폴리움, 커다란 잎이 특징인 베놈이 요즘 김씨가 가장 아끼는 식물들이다.
희귀식물을 키우는 김민서씨 방 모습. 사진 장선희 |
희귀식물을 키우는 김민서씨 방 모습. 사진 장선희 |
스스로를 ‘희귀하고 새로운 식물종을 찾아다니는 여행가’라고 표현한 김씨는 최근에는 여러 종을 혼합해 새로운 종을 만들어내는 ‘시들링’(seedling) 작업에도 관심이 생겼다. 시들링은 ‘고수 식집사들의 영역’이라고 불릴 정도로 쉽지 않은 과정이다. 여러 종을 혼합해 씨앗을 채취하고 발아시키는 모든 과정이 까다롭고, 성공률도 낮기 때문이다. 그래도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식물을 탄생시키겠다는 목표로 꾸준히 도전 중이다. 얼마 전에는 안스리움 종류의 희귀식물 3종을 시들링 한 씨앗을 구해서 기대감을 안고 발아를 준비 중이다. 식물이 다 자랄 때까지 생김새나 색깔을 전혀 예상할 수 없다는 게 시들링 작업의 묘미다.
“희귀식물을 키우면서 ‘변종’일수록 더 환영받는 곳이 있다는 점이 새삼 신기하더라고요. 남과 다를수록 더 사랑받는 거죠. 뭐든 튀지 말고 다른 사람들과 비슷해지길 강요받는 세상에서 희귀식물을 돌보다 보면 나만의 작은 해방구가 생긴 것처럼 자유로운 기분까지 든다니까요.”
장선희 자유기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