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한 빛이 만드는 온화하고 따뜻한 집
[모든 것을 담아도 한 층이면 충분한 단층주택의 특별한 매력 ③_계룡 미니멀하우스]
단층은 땅이 아깝다고들 한다. 단층은 심심하지 않냐는 말도 한다. 하지만, 다섯 집의 가족들은 아니라고 단언한다. 주말주택부터 상가주택까지, 단층이라는 제약 속에서 더욱 빛나는 아이디어와 여유를 각양각색 다섯 주택 사례에서 만나본다.
![]() |
높은 창을 따라 쌓아 올린 블럭 사이로 특별한 빛의 축제가 펼쳐진다. 주택에서만 만날 수 있는 요소들을 가득 담은 집에서은퇴 후 부부의 새로운 삶의 시간이 시작된다.
![]() 1_해가 질 무렵 실내의 조명이 블럭 사이로 빠져나와 영롱한 빛을 낸다. |
![]() 2_어렸을 적 살던 집을 떠올리며 만든 툇마루. 툇마루를 따라 어떤 방이든 출입이 가능하다. 걸터 앉아 시간을 보내기에도 좋다. |
교장 선생님으로서의 인생 제1막을 마친 남편. 아내의 남동생이 건축가이기에 그의 도움을 받아 집짓기와 함께 특별한 시작을 하기로 했다. 계룡 신도시 택지 개발지구의 작은 땅 위에 마련한 집터 주변으로는 이미 몇몇 집들이 들어와 살고 있었다. 새로운 집이 기존의 이웃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기를 바랐다. 그렇게 선택한 집의 주재료는 연륜이 쌓여 자연스러운 색감과 질감을 만들어내는 고벽돌. 새로 지은 집이지만 원래부터 있었던 집인 듯 주변의 풍경과 자연스럽게 녹아들도록 계획했다.
PLAN
![]() |
![]() |
![]() 3_주방 및 식당으로 사용하는 공간. 대면형으로 단순화된 주방과 깔끔하게 정리된 수납공간으로 조리 작업을 하기에 최적화된 모습이다. |
![]() |
![]() 4,5_주방과 복도 위쪽으로 아내의 바람인 작은 다락이 구성되어 있다. 높은 층고와 천장까지 이어지는 큰 창 덕분에 다락에서도 테라스에 나와 있는 듯 시원한 개방감이 느껴진다. |
아내가 새로운 집에서 꿈꾼 모습 중 하나는 2층 테라스에 앉아 우아하게 커피를 마시는 시간을 갖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층집은 더 나이가 들면 오르내리기가 힘들기 때문에 단층집에 작은 다락을 만드는 것으로 타협했다. 천장까지 높게 설치한 창 덕분에 다락에서도 야외에 나온 듯 탁 트인 시야를 확보했다. 다락을 따라 끌어올려진 지붕선은 집의 외관을 이층집처럼 보이게 하는 착시를 일으키기도 한다.
![]() 6_집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안방. 공용 공간인 거실과 가장 멀리 배치해 작은 면적 안에서도 사적 공간을 확실히 구분했다. |
![]() 7_주방에서 다락으로 연결되는 계단실. |
![]() |
![]() 8,9_주방과 안방 사이의 다실. 주방으로는 액자형으로 벽이 뚫려 있어 서로 소통이 가능하다. 지붕선에 따라 사선으로 떨어지는 유리창이 빛의 또 다른 재미을 보여준다. |
편안한 모양새로 알뜰하게 지어진 집을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것은 커다란 창으로 마감된 집의 전면에 쌓아 올린 블럭이다. 규칙적으로 올라간 블럭은 집에 현대적인 요소를 더해주고, 집 안으로 쏟아지는 빛의 아름다운 산란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밤이 되어 툇마루에 앉으면 내부의 조명이 블럭을 통해 밤하늘의 반딧불처럼 빛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