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마스크 유의점에 대해 알아봅시다.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출처 – ‘닥터프렌즈’ 유튜브

사실 작년에 창윤 선생님께 우리가 혹시 코로나에서 언제쯤 자유로워질까요 질문했을 때 내년 여름쯤에 백신이 나오지 않을까라는 답변을 해주셨어요. 그래서 저도 작년엔 이때쯤이면 마스크에서 자유로워질 줄 알았는데, 여전히 마스크는 써야 하는 상황이네요. 특히 여름이 되니까 마스크를 낄 때 겨울보다 불편한 점이 있어요.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같은 재질인데도 색깔에 따라서 여름철에 더 사용하기 좋은 마스크가 있어요. 장단점이 굉장히 명확하기 때문에 사람마다 잘 결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더위에 대해서만 얘기를 해보자면, 검은색이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잖아요. 그래서 이걸 모 프로그램에서 뙤약볕에다가 2개의 마스크를 놓고 20분이 지나고 온도를 재본 결과, 하얀색은 29~30도 정도 됐는데, 검은색은 34도로 나왔습니다.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검은색 마스크가 조금은 더울 수 있긴 하지만, 마스크를 머리에 쓰는 것이 아니고, 하관에 쓰고 직접적으로 빛을 받진 않기 때문에 극단적인 차이는 없다고 보입니다. 이 문제보다 더 유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한여름 무더위가 시작해 자외선을 피할 수 없는 요즘인데요. 바로 자외선 문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자외선이 내리쬘 때 흰색 마스크를 쓰고 있다면, 빛을 다 반사 시켜서 마스크를 끼지 않은 눈가나 얼굴 위쪽으로 색소침착을 일으킵니다. 마치 겨울에 눈 바닥에서 타는 것과 같은 건데요. 그리고 자외선 차단율도 굉장히 차이가 심합니다. 하얀색은 보통 자외선 차단율이 90%가 안되는데, 검은색은 99% 정도로 보호가 됩니다. 물론 검은색을 낀다고 해도 선크림을 바르는 게 맞습니다.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검은색 마스크를 끼면 검은색이 빛을 흡수를 하기 때문에 다른 곳에 가는 빛도 검은색 쪽으로 집중됩니다. 선크림으로 차단도 되고 마스크 쪽도 차단이 되니까 자외선으로부터 우월한 성능을 가지고 있어요.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출처 – ‘닥터프렌즈’ 유튜브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마스크에 손이 갈 수도 있잖아요. 그러면 평상시 보다 선크림이 지워지거든요. 그래서 검은색이 자외선만 생각하면 더 유리하고 더위에선 하얀색이 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실내생활을 덜 하고 이동할 때만 마스크를 끼는 사람이라면 하얀색이 훨씬 맞는다고 할 수 있겠네요. 대신에 마스크를 끼고 있는 걸 자각하고 있으면 선크림을 자주 덧발라주는 게 좋아요. 특히 닿는 부분들을 더 신경 써 주세요.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

더위를 잘 안 타고 바깥에서 많이 돌아다닌다면, 검은색이 더 유리하겠죠. 자외선을 막아줄 수 있고 빛이 반사되어 다른 곳이 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니까요. 여름에는 하얀색 마스크가 마스크 안 쓴 부위를 더 태울 수 있다고 말씀드리고, 색소 침착을 막기 위해서는 마스크를 쓸 때 더 신경 써서 발라줘야 합니다.


오늘은 간단하지만, 여름에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고 느껴서 정리해서 알려드려 봤습니다. 그럼 다음에는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마스크 쓰면 선크림 안 발라도 되나요?” 모르고 마스크 쓰면 후회할 ‘이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