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화장실 고체 비누, '과연' 깨끗할까?
고체 비누는 과연 더럽기만 한 걸까? 고체 비누와 올바른 손 씻기 방법
하절기에 집중 발병하는 다양한 전염병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공장소 이용 후 올바른 손 씻기가 중요하지만 고체비누를 사용해 손 씻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공중화장실의 고체 비누는 보기만 해도 더럽고 세균도 득실득실할 것이란 인식이 고체비누를 사용한 손 씻기를 기피하게 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비누와 물을 골고루 사용한 손 씻기가 청결한 위생을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말하지만 고체비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현대인들의 손 씻기 습관을 방해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렇다면 세균의 온상 같아 사용하기가 꺼려지는 공중화장실의 고체비누. 과연 사용해도 괜찮을까? 고체비누에 대한 모든 것과 함께 손을 제대로 씻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자.
비누를 사용한 올바른 손 씻기 실천율은?
![]() |
하절기에 집중 발병하는 다양한 전염병,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누와 물을 골고루 사용하는 올바른 손 씻기가 필수적이다. 물로 씻는 것보다 비누를 사용해 손을 꼼꼼히 씻는 것이 효과적으로 세균을 제거할 수 있어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헬스조선 보도자료에 따르면 비누로 손 씻기를 실천하는 비율은 67.4%에 그친다. 특히 공중화장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관찰조사에서 화장실 사용 후 손 씻는 사람의 비율은 71.4%였고, 이 가운데 비누로 손 씻는 사람의 비율은 29.5%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고체 비누보다 액체 비누를 더 많이 사용한다고?
![]() |
실제 고체 비누에 대한 기피심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고체 비누 보다 액체 비누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보도자료가 공개한 화장실문화시민연대와 유한킴벌리가 2015년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화장실 위생실태 및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93.9%의 시민이 고체 비누보다 액체비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왜 고체 비누 사용을 꺼려할까?
![]() |
많은 이들이 공중화장실의 고체 비누 사용을 꺼려하는 이유는 고체 비누가 ‘불청결’하다고 생각되어서다.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간 고체 비누를 보면 이른바 ‘손때’가 생겨 울긋불긋 검은 때로 얼룩져 더러워져 있다. 한눈에 보기에도 더러워 보이는 데다, 수십 수만 명의 손을 거쳐 간 비누라면 온갖 세균이 득실득실할 것이란 생각이 고체 비누를 기피하게 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고체비누에서는 세균이 자랄 위험성이 있다?
![]() |
많은 사람들이 고체 비누 사용을 꺼려하는 것은 일부 일리가 있는 것으로 짐작된다. 세균으로 오염된 손을 세정하기 위한 용도의 고체 비누에도 세균이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실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체 비누에 물이 묻어 미끌미끌한 상태에서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보도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한 위생용품업체 고조 인더스트리도 2013년 공중화장실 고체비누가 변기 물보다도 더럽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런 연구결과가 일부 시민들에게 기피 심리를 안겨주면서 고체 비누 사용을 꺼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공중화장실 고체비누, 위생적으로는 문제가 거의 없다?
![]() |
세균이 많고 비위생적일 것이란 이유로 많은 이들이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고체비누. 하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공중화장실 고체비누는 위생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전문가들은 고체비누의 세균은 손을 씻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사라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공중화장실에 비치된 고체비누를 사용해도 인체에 해롭지 않고 위생적으로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견해가 나온다.
고체비누 세균 걱정을 덜기 위한 방법은?
![]() |
고체비누를 사용해도 인체에 해롭지 않고 위생적으로도 큰 문제가 없다는 견해가 나오지만 많은 사람들의 손을 거쳐 한눈에 보기에도 청결해 보이지 않는 비누를 사용하기엔 찝찝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고체비누를 좀 더 똑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고체비누를 사용하기 전에는 손을 씻기 전 미지근한 물로 고체비누를 헹구고,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또한 물 빠짐 거치대 등을 적절히 사용하면 세균 증식 걱정을 덜 수 있다고 한다.
손 씻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은?
![]() |
손 씻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시 발생할 수 있는 감염병과 질환으로는 수족구병, 식중독, a형 간염 등이 있다. 올바른 손 씻기를 실천하지 않을 경우 각종 전염병과 질환에 취약해질 수 있어 평상시에 비누를 사용하여 손 씻기를 꼼꼼히 하는 등의 주의가 필요하다. 평상시에도 개인 위생관리를 통해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에 반드시 손을 청결히 하는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자.
식중독과 수인성 감염병은 손 씻기만으로도 약 5~70% 예방이 가능
![]() |
손 씻기는 개인위생 관리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실제 식중독과 수인성 감염병 등은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를 사용해 손을 씻는 것만으로도 약 50~70%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로만 씻기보다는 반드시 비누를 사용해 손깍지 구석구석까지도 꼼꼼히 씻는 것이 효과적으로 세균을 제거할 수 있어 예방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다.
고체 비누 사용이 싫다면 휴대용 비누를 사용해보는 건 어떨까?
![]() |
많은 사람들의 손이 거쳐 간 공중화장실 비누를 사용하는 것이 꺼려진다면 가방이나 호주머니에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비누를 사용해보도록 하자. 시중의 휴대용 비누는 종이비누, 액상비누, 고체 비누 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손 씻기에서 비누를 사용하기만 해도 쉽게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이 많으므로 개인위생에 항상 신경을 쓰도록 하자.
올바른 손 씻기 방법은?
![]() |
손 씻기는 배변 후, 음식 섭취 전 후, 외출 후, 기침이나 재채기를 한 후, 공공장소를 이용하는 경우 등 일상생활에서 자주, 올바르게, 꼼꼼하게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손 씻기 방법으로는 흐르는 물에 비누와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것이다. 이때 깍지를 끼고 비비고, 손바닥, 손등을 문지르고, 손톱과 손바닥까지 구석구석 꼼꼼히 문질러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산모, 소아과, 신생아실 및 산후조리원, 유치원, 어린이집 종사자 등은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하며 손 씻기 이외에도 자주 사용하는 물건, 집기 등을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