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문 대통령의 세 번째 경고장...가장 수위 높았던 이유는?

[앵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주 일본의 추가 제재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 속에 지난주보다 더 강한 수위로 3차 경고에 나섰습니다.


문 대통령의 세 차례 메시지 속에 담긴 구상을 김승환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기자]


[문재인 / 대통령 (지난 8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 : 한국의 기업들에게 피해가 실제적으로 발생할 경우 우리 정부로서도 필요한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지난 8일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의 보복 조치 나흘 만에 첫 입장을 밝혔습니다.


우리 정부의 상응 조치 가능성도 언급하고 대응과 맞대응의 악순환까지는 피하자고 강조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일본에 의존하는 산업 구조를 바꾸는 계기로 삼겠다고 예고하는 방법으로 일본의 태도 변화를 압박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10일 대기업 총수 청와대 간담회) ;우리의 외교적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매우 유감스러운 상황이지만,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틀 뒤, 대기업 총수들을 만나서는 처음으로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는 대통령으로서의 상황 인식을 밝히고 일본에는 막다른 길로 가지 말라는 두 번째 경고를 보냈습니다.


일본의 근거 없는 의혹 제기는 자신 있게 비판했고 양국이 함께 국제기구의 검증을 받자면서 확실하게 공격 태세로 전환했습니다.


[문재인 / 대통령 (어제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 :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제재의 틀 안에서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는 우리 정부에 대한 중대한 도전입니다.]


세 번째 메시지는 대통령이 직접 '도전'이나 '경고' 단어를 쓴 것이어서 이번 사태 이후 가장 세다는 평가입니다.


일본의 추가 조치 가능성이 있는 오는 18일과 사태 장기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오는 21일 일본 국회의원 선거가 임박한 시점에 경고장 수위를 더 높인 점도 주목됩니다.


앞서 두 차례 경고에 일본 정부가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고 추가 제재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것에 대한 분명한 대응으로 해석됩니다.


일본 정부에 사태를 관리할 수 없는 수준으로 확대하지 말고 명분이 우리에게 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 건데,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 발언에서도 부처별 대응 상황을 점검하면서 강경한 대일 압박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YTN 김승환입니다.

오늘의 실시간
BEST
ytn
채널명
YTN
소개글
YTN은 한국을 대표하는 뉴스 전문 채널입니다.
    ESTaid footer image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 ESTaid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