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변화가 몰고 올 파장

간병인·물리치료사 뜨고 웨딩플래너·텔레마케터 진다

고령화 영향 의료서비스 수요 확대

의사·간호조무사 등 유망직업 올라

변리사·항공기 조종사 등도 청신호

결혼 부담스럽게 여기는 현실 반영

자동화기술 발달로 직업 대체 효과

운송사무원·콘크리트공 등 감소세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10년이면 강산이 변하는 시간이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의 여파로 ‘10년 뒤 사라질 직업 vs 떠오를 직업’은 단골 대화 주제가 됐다. 그렇다면 한국고용정보원이 향후 10년간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직업은 무엇일까.


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보건의료, 법률, 컴퓨터네트워크·보안 관련 분야에서 인재 수요가 늘 전망이다. 반대로 자동화, 스마트 기술 발달로 대체 가능해지는 단순노무직과 결혼 기피 현상 등 사회 흐름을 반영한 직업의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정보원은 25일 발간한 ‘2019 한국직업전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17개 분야에서의 국내 대표 직업 196개에 대한 2027년까지의 고용 전망을 담은 발간물로, 고용정보원은 1999년부터 격년으로 한국직업전망을 발행하고 있다.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고용정보원은 직업별로 향후 10년간 연평균 고용증감을 증가(19개), 다소 증가(68개), 현 상태 유지(81개), 다소 감소(31개), 감소(1개) 등 5개 구간으로 나눠 제시했다. △2017년 발표한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포함, 각종 연구보고서 분석 △직업별 전문가 검증 △전문가 상호 검증 등 3단계를 거쳐 도출한 결과다.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우선 취업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직업 19개 중 절반가량은 보건·의료·생명과학 등 건강 분야에 집중됐다. 평균 수명 연장, 고령화 사회의 여파로 의료 서비스 수요가 확대되고 사람들이 건강관리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사, 치과의사, 물리 및 작업치료사, 생명과학연구원 등이 꼽혔다. 수의사는 반려동물 문화 확대와 글로벌화에 따른 검역업무 증가 등으로 직업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됐다.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법률 분야에서도 향후 10년간 수요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가 담겼다. 변리사는 기술 발전으로 특허 건수가 증가하고 지식재산권 중요도가 상승해서, 변호사는 법률서비스 증가세가 앞으로도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에서 취업자 수가 많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회적 인식 확대, 정부 정책 변화 흐름 등에 발맞춘 직업도 취업자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현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 등 돌봄환경이 국가지원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간병인이 늘고, ‘구의역 김군’ ‘김용균 사망’ 등 산업안전 이슈 증대에 따른 관련 규제 강화로 산업안전 및 위험관리원도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이밖에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직업으론 여가에 대한 관심 증대로 항공기 조종사 및 객실 승무원이, 정보통신기술(ICT) 발달로 네트워크 시스템개발자와 컴퓨터 보안 전문가가, 문화재 보수 예산 및 한옥 신축 증가 예측에 따라 한식목공 등이 꼽혔다.


취업자 수가 현 상태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직업엔 기업 임원(CEO), 경비원, 대학교수, 번역가, 아나운서 및 리포터, 교사, 학원 강사, 패션디자이너, 운동선수, 경영컨설턴트 등이 꼽혔다.


취업자 수 전망이 ‘다소 감소’에 해당하는 직업으로는 31개가 꼽혔다. 결혼상담원 및 웨딩 플래너의 경우 내 집 마련의 어려움, 자녀 교육비 지출 등에 대한 우려로 결혼을 부담스럽게 여기는 분위기가 깊어지는 현실을 반영했다.

10년 후 내 직업은? … AI·사회

계산원 및 매표원, 세탁원 및 다림질원, 악기제조원 및 조율사, 텔레마케터 등 자동화에 따른 대체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나 철근공, 콘크리트공, 석공, 건축 목공, 운송사무원 등 노무종사자들도 포함됐다. ‘감소’ 전망을 받은 직업은 ‘인쇄 및 사진 현상 관련 조작원’ 하나였다.


고용정보원이 일자리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면접 등을 통해 핵심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자동화 기술, 저출산 고령화, 경쟁 심화, 환경 등이 꼽혔다.


박가열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일자리 증감은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인구구조 및 사회 문화적 환경, 그리고 정부 정책 및 제도의 상호작용을 반영한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이동수 기자 samenumber@segye.com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오늘의 실시간
BEST
segyenews
채널명
세계일보
소개글
빠르고 정확한 전달을 위해 세계일보의 불은 늘 켜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