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로 간 유튜버, 유튜브 하는 스타들
유튜버들과 연예인들이 ‘스위치’했다.
유튜버들은 TV 방송 프로그램에 나오고, 연예인들은 유튜브 플랫폼으로 갔다는 의미다. ‘유튜브를 하면 수천, 수억대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너도 나도 뛰어들게 된 요즘. 익히고 외울 정도의 중요한 내용이 없더라도, 조회수가 잘 나오면 돈이 되는 세상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유튜버로, 스타들은 무대나 예능 및 연기 활동을 넘어 유튜브로 활동을 곁가지를 쳤다.
유튜버들의 존재감이 커지자, 발빠른 방송국에서는 인기 유튜버들을 섭외하며 방송 콘텐츠를 채웠다. 이에 일반 시청자들도 그들의 존재를 점차 알게된 것이다. 그런가 하면 데뷔 후 주로 TV와 스크린, 무대를 누비던 스타들은 방송가에 비해 속박이 덜한 유튜브 세상에서 PD가 되어 그간 자신이 해보고 싶었던 것들을 펼치고 있다.
풍자x곽튜브, 연예인보다 핫해
유튜버에서 연예인으로서 새 삶을 살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은 풍자와 곽튜브. 두 사람은 각각 트랜스젠더의 일상, 세계 각국 여행 콘텐츠로 구독자들 사이에서 꽤나 유명했다. 이들이 개그맨 이용진, 조세호와 함께 출연한 유튜브 예능 ‘스튜디오 와플-바퀴 달린 입’ 시즌제가 유저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면서 두 사람의 인지도는 한층 높아지기 시작했다. 두 사람은 예능 경험이 전무한 일반인임에도 연예인들에게 지지 않는 순발력과 입담을 자랑하며 웃음을 끌어내는 데 유효했다.
이후 풍자는 자신의 개인 채널은 물론 ‘또간집’ 등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예인보다 뜨거운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는 SBS 예능 ‘검은 양 게임’을 통해 지상파에 진출했고 이후 KBS2 ‘빼고파’, JTBC ‘히든 싱어7’, MBN ‘고딩엄빠2’, iHQ ‘돈쭐내러 왔습니다’, MBC ‘세치혀’, tvN ‘도레미 마켓’, MBC ‘전참시’, SBS ‘미우새’ 등에 출연했다. 풍자는 선입견과 편견을 이기고 방송사 메이저 프로그램에 나올 정도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둔 유튜버로 손꼽히고 있다.
여행 유튜버 곽튜브의 일명 ‘찌질이’ 캐릭터도 통했다. 그 역시 유튜브를 넘어 TV로도 활동반경을 넓힌 성공적 케이스다. 개인 채널에서는 먹방, 다이어트, 전국일주, 캠핑, 국내 여행 등의 콘텐츠를 찍었는데 ‘바퀴 달린 입’, ‘조밥 곽선생’에서 연애 못하는 남자의 솔직함을 보여주며 상승세를 탔다.
물이 오른 그는 이제 개그맨도 웃기는 개그와 입담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tvN ‘유퀴즈’와 ‘부산촌놈 in 시드니’, MBC ‘라디오스타’, KBS2 ‘옥탑방의 문제아들’, 넷플릭스 ‘데블스 플랜’, MBC ‘전참시’에 모습을 드러냈고 EBS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내건 ‘곽준빈의 세계 기사식당’ 고정까지 꿰찼다.
성시경x신동엽, 제2의 유튜버
누구도 따라할 수 없는 특유의 목소리로 수많은 히트곡을 보유한 가수 성시경의 두 번째 직업은 유튜버.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요리와 먹방 등 소탈한 일상을 공개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특히 메뉴를 가리지 않는 식성과 다양한 술을 좋아하는 그가 소개하는 전국의 다양한 맛집에 이목이 쏠리면서 유튜브 조회수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이제는 드라마나 영화, 새 앨범의 출시를 앞둔 스타들이 그의 채널에 가장 먼저 출연해 홍보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그의 절친이자 인기 개그맨 신동엽도 뒤늦게 유튜브에 뛰어들었지만 특유의 재치와 센스로 사랑받는 중이다. 그간 쌓아온 연예계 인맥을 자신의 채널에 초대해 함께 술을 마시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모습이 주를 이룬다.
역시나 특별한 콘셉트가 없음에도 그들이 먹고 마시는 모습에 조회수는 매일 상승세. 유튜브 채널 특성상 아무런 콘셉트가 없어도 그냥 보게 된다는 강점을 이용한 것이다. 믿기지 않겠지만 사실이므로 유튜브가 얼마나 파급력이 컸는지 느낄 수 있다.
이렇듯 풍성한 콘텐츠와 쇼츠로 인해 국내 유튜브 이용자들이 계속 늘며 영향력이 커졌다. 한국인의 유튜브 사용 시간이 하루 평균 1시간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유튜브의 영향력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데, 유튜브에서 유포되는 허위 정보나 음주 및 흡연 조장에 대해서는 마땅히 제재할 수단이 없다는 것은 고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유튜브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삶 전반에 파고들며, 심각한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는 만큼 인기인들의 신중한 콘텐츠 생산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김보라 기자 purplish@osen.co.kr
[사진] OSEN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