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없이 넣고 있었던 대형마트 카트 100원의 진실
[MONEYGROUND 디지털뉴스팀] 대형마트를 방문하기에 앞서 사람들이 100원짜리 동전을 먼저 찾는 일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쇼핑카트를 이용해 편리하게 장을 보기 위해서는 100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00원 동전을 넣어야지만 카트를 빼서 사용할 수 있으며 다 쓴 이후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카트를 집어넣어야지만 100원을 돌려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코인락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처음부터 쇼핑카트를 이용하는데 100원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다. 왜 ‘코인락 시스템’이 발명되었는지, 그리고 왜 하필 100원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밖에까지 반출하여 이용
처벌은 쉽지 않아
대형마트마다 소비자들의 쇼핑을 돕기 위해 많은 쇼핑카트를 구비해놓고 있다. 그런데 이 카트때문에 마트 측이 많은 손해를 감내하고 있다고 한다. 카트를 사용하기 위해 100원이 필요하기 이전에는 문제가 더욱 심각했다.
쇼핑 카트를 마트 밖에까지 반출하여 이용하고 아무 곳에나 버리는 ‘어글리 소비자’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대로 집까지 가져가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방치하는 카트들이 넘쳐났다.
마트 한개 지점에서 매달 쇼핑카트 10대 가운데 1대가 분실되고 있다고 한다. 일년으로 치면 수백대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카트가 엄청나게 사라지다 보니까 사용하는 소비자들 중에도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마트 측의 손해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쇼핑 카트는 1대 당 17~20만원이나 하기 때문에 점포 당 카트로 인한 손실액만 연간 수천만원에 달한다.
실제로 카트를 매장 밖으로 가져나가 집까지 운반하는 것은 절도죄에 해당하지만 그 처벌은 쉽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가 더욱 어려운 것이다. 고객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마트이므로 경찰에 신고하면 고객 방문횟수가 줄어들어 매출까지 영향을 받을까봐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가 없다. 실제로 한 대형마트에서는 카트 외부 반출을 전면 금지했다가 주민들의 반발로 이를 철회하기도 하였다.
눈에 띄는 효과 있어
나름 실효성을 거둔 셈
동전 100원을 넣는다고 해서 카트 분실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었지만 이전과 비교했을 때 눈에 띄는 효과는 있었다. 코인락 시스템을 도입한 이 후에 카트회수율이 68%늘어났다고 집계되었다. 그래도 회수되지 않은 카트들은 카트수거반이 직접 아파트 지하주차장, 놀이터 등을 돌며 카트를 회수해온다고 한다.
완전한 해결책은 주지 못했지만 마트 입장에서는 나름 실효성을 거둔 셈이다. 뿐만 아니라 동전 100원을 이용한 코인락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카트를 효율적으로 정리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 동전을 통해 카트를 일렬로 묶어두고 있기 때문에 분실 우려가 줄어들었음은 물론이고 효율적으로 정리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500원으로 올리자는 의견
쇼핑 카트 이용률도 떨어질 것이 분명
그렇다면 왜 100원일까? 일각에서는 100원만으로는 보증금의 역할이 약하니까 500원으로 금액을 올리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500원 보증금 제도를 도입한 마트고 있다고 한다. 100원이 금전적 가치가 낮은 것은 사실이다. 100원으로는 살 수 있는 물품도 없으니 충분히 카트를 다시 집어넣지 않고 끌고 갈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100원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히 사용하는 동전이다. 이미 50원, 10원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500원짜리도 흔히 들고 있지는 않다. 500원을 넣어 이용할 수 있는 셀프세차장에서도 지폐를 500원으로 교환하는 일이 잦다.
그만큼 500원이 주머니 속에 있을 일이 없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나 100원은 다르다. 동전 저금함에 가장 많은 것이 100원이고 어디서든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 100원이다. 마트란 곳은 어쨌든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하는 공간이니만큼 코인락 시스템을 운영하더라도 고객들이 가장 편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다.
만약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하여 카트를 이용해야 한다면 카트 회수율은 올라가겠지만 그만큼 쇼핑 카트 이용률도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 때문에 소비자들의 편의성을 충족시키는 선에서 카트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적정선이 100원이었던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