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컬처]by 머니그라운드

김영삼 대통령이 조선총독부 철거 지시하자 당시 일본이 보인 반응

과거 35년간 한반도를 강제 지배해온 일본은 조선의 대표적인 궁궐인 경복궁 앞에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었다. 이는 당시 총독이던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의 강력한 의견에 의해 결정되었다. 총독은 의도적으로 경복궁, 그것도 조선의 임금들이 정사를 돌보던 근정전의 정면을 막아서는 위치에 청사를 지어, 일본이 조선의 통치자라는 의식을 심어주려고 한 것이다.

잔혹한 일제의 역사를 상징하는 총독부 건물은 이후 1993년까지 경복궁을 가로막으며 그 자리에 존재했었다. 그리고 철거는 1995년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일제 잔재의 핵심이었던 조선 총독부가 광복이 50년이나 지난 후에 철거된 것일까?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조선총독부 건물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

광복 이후 총독부 청사는 나라의 경제적 여력이 부족해 철거가 미뤄졌다. 중앙청(Capital Hall)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면서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과 함께하기도 했다. 이곳에서 제헌 국회가 열리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식이 거행되기도 하였다. 1986년에는 청사를 개보수하여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하지만, 아무리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더라도 일제의 상징과도 같은 건물이 경복궁 앞에 건재하고 있다는 사실은 국민의 반감을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게다가 총독부 청사가 국보 문화재를 보관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용도로 쓰이고 있었기에 국가적 자존심에 흠집을 내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 청사는 1990년 경복궁 복원사업이 시작되며 철거하는 것으로 논의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1993년 김영삼 前 대통령의 해체 지시

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는 문민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루어졌다. 1993년 8월 9일, 김영삼 대통령은 민족정기 회복을 위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쓰고 있는 조선총독부 청사를 해체하고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국책사업으로 건립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1995년 3월 1일, 정부는 김영삼 前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옛 총독부 건물을 헐어낸다고 선포하였다. 광복절인 8월 15일에 총독부 건물 중암 돔의 첨탑을 끊어낸 뒤 내년 초까지 철거를 완료하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일본의 반응

조선총독부 철거가 논의되자 일본 정부는 회수 비용을 모두 부담할 테니 건물의 원형 그대로 이전해달라는 입장을 전했다. 하지만 원형을 보존하여 회수하는 방법보다 철거하는 것이 훨씬 시간 소요가 적었고, 당시 일본을 향한 국민감정과 일치했기 때문에 이전보다는 철거를 선택하였다.

그때 당시에도 독도를 둘러싸고 한·일간 감정이 고조된 상황이었다. 그 해 11월에 열린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김영삼 前 대통령이 “일본의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라고 말할 정도였으니 일본의 회수 요구에 불응한 건 당연한 결과였다.

광복 이후 일본인들에게 조선총독부 청사는 한국 관광 필수 코스였다. 국내외로 총독부 철거 소식이 퍼지자 그곳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 수가 크게 늘었다. 그곳에 방문한 일본인 관광객 모두가 건물 앞에서 으스대는 모습이었고, 애석한 표정을 지으며 아쉬움을 표했다.

1995년 8월 15일, 조선총독부 첨탑 철거

그리고 그 해 광복절, 해방 50년 만에 이뤄진 일제 상징의 제거를 기리는 행사가 열렸다. 총독부 청사의 가장 높은 첨탑이 절단되는 순간, 행사에 모인 5만여 명의 국민들은 일제히 환호하며 일제 잔재 청산을 환영했다.

오늘의 실시간
BEST

mground
채널명
머니그라운드
소개글
처음 경험하는 '돈'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