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너, 딱 우리 스타일이야…5060·7080세대, 유튜브에 푹 빠지다
‘품바’ ‘7080포크송’ 유튜브에서 부활
‘품바 여왕’ 버드리 공연 인기
라디오처럼 트로트 등 즐겨
노인들 “TV에 없는 정보들”
대부분 보수 성향 채널 시청서울 시내 한 아파트에서 경비원으로 일하는 김성수씨(58)는 최근 유튜브에 푹 빠졌다. 그에게 요즘 즐겨보는 채널이 뭐냐고 묻자 망설임 없이 대답했다. “버드리. 버드리가 최고지. 요즘 버드리 모르는 사람이 어딨어.” 김씨는 스마트폰을 내밀며 한 여성의 사진을 보여줬다. 양갈래 머리를 하고 허리춤엔 지폐를 한가득 꽂은 버드리(본명 최현숙·47)였다.
‘10대에게 BTS(방탄소년단)가 있다면, 우리에겐 BDR(버드리)이 있다!’
버드리는 유튜브에서 ‘품바 여왕’으로 불린다. 품바는 장터나 길거리에서 동냥하는 각설이 공연을 뜻한다. 지역축제나 장마당에서 진행된 버드리의 공연을 업로드하는 유튜브 채널 ‘금강산’의 구독자 수는 7일 기준 4만4000명에 달했다. 동영상 총 조회수는 3059만뷰가 넘는다. 구독자는 대부분 50대 이상이다. 유튜브 영상에는 “이 목소리가 듣고 싶어 하루 몇번씩 들락거린다” “딸 소개로 한 번 보고 일주일을 밤새 버드리 영상만 보고 있다” 등 수백개의 댓글이 달렸다. “어르신들 댓글 너무 재미나다” “중년의 아이돌이다” 등의 댓글도 눈에 띄었다.
버드리의 거침없는 입담도 인기 요인이다. “거지들 살판났네~ 그냥.” 관객들이 건네는 지폐를 받기 위해 장터를 누비는 그는 스스럼없이 자신을 ‘거지’라 칭했다. ‘19금 대화’도 자연스럽게 오고 갔다. 객석에선 쉴새 없이 웃음이 터졌다. 관객에게 받은 수십장의 지폐를 허리춤에 찬 버드리는 품바 패거리와 함께 장구를 치며 목청이 터져라 금잔디의 ‘오라버니’, 이애란의 ‘백세인생’ 등을 연이어 불렀다. 지역축제 한 관계자는 “버드리를 섭외하면 그 축제는 대박 난다는 말이 있을 정도”라며 “유튜브 스타 버드리를 보려고 멀리서 축제를 찾는 중장년층도 많다”고 말했다. 그는 “버드리의 공연을 보다 옛날 생각난다며 눈물을 흘리는 어르신도 있다”면서 “대부분은 공연을 보면 가슴이 뻥 뚫린다는 반응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유튜브에서는 품바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공연이 중장년층에게 사랑받고 있다. 1970·80년대 발매된 포크음악을 제공하는 채널은 구독자 수가 16만명이 넘고, 트로트 전용 채널의 구독자는 5만명에 달한다. 전업주부 김은숙씨(47)는 “예전엔 하루종일 라디오를 켜뒀는데, 요즘은 유튜브를 켜놓고 생활한다”며 “별도로 구독료를 내거나 회원가입을 할 필요가 없고, 한 번 켜놓으면 취향에 맞는 노래들로만 자동 재생돼 훨씬 좋다”고 말했다.
유튜브로 뉴스 보는 노인들
지난 2일 종로 일대를 돌며 만난 노인들에게 “유튜브를 이용하냐”고 물었다. ‘그렇다’고 답한 60대 이상 노인 12명 중 9명은 “주로 정치 관련 영상을 시청한다”고 밝혔다. 이들 대부분은 보수·우파 유튜브를 시청했다. 정규재TV, 신의 한수, 황장수의 뉴스브리핑 등 채널은 다양했다.
정규재TV를 구독하고 있다는 박현석씨(72)는 “TV에는 나오지 않는 진짜 정보가 여기에 다 담겼다”며 “최근 방송이나 라디오가 전부 좌편향돼서 볼 게 없었는데, 유튜브가 있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이모씨(70)는 “네이버 밴드를 통해 지인들이 유튜브 영상을 많이 보내준다”고 했다. 진보 성향의 정치 콘텐츠를 본다는 노인도 있었지만, 그 수는 많지 않았다. 유튜브를 통해 시사평론가 김용민씨의 방송을 즐겨 본다는 김상현씨(66)는 “진보 쪽은 팟캐스트가 워낙 잘돼 있어서 유튜브를 굳이 볼 필요가 없다”면서도 “대신 유튜브에서는 자막 같은 것도 시원시원하게 넣어주니까 어려운 뉴스는 일부러 찾아보기도 한다”고 말했다.
실제 구독자 수도 크게 차이가 났다. 보수·우파 채널인 정규재TV와 신의 한수는 7일 기준 구독자 수가 각각 22만6000명과 18만2000명인 반면, 진보 성향 방송인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의 딴지방송국과 김용민 시사평론가의 채널은 구독자 수가 7만4000명과 1만9000명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보수·우파 방송의 경우 주 시청층이 50대 이상인 반면, 진보 방송은 상대적으로 젊은 30대·40대가 주로 시청한다”고 말했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기존 언론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노인들이 자신들의 성향에 맞는 콘텐츠를 찾아 유튜브로 옮겨간 것”이라며 “특히 사용자의 선호를 분석해 볼만한 영상을 추천하는 자동 추천 시스템이 정보검색에 약한 노인들에게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장년·실버세대, 왜 유튜브로 모이나
콘텐츠가 중심, 소통은 부수적
SNS 서툰 연령층 거부감 없어
비슷한 채널 추천도 해줘 편리
편향된 콘텐츠에 매몰 우려도
유튜브는 더 이상 젊은 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 4월 기준 50대 이상의 유튜브 총 사용시간은 51억분에 달했다. 이는 10대(76억분), 20대(53억분)의 사용시간보다 적지만 30대(42억분), 40대(38억분)보다는 많은 수치다. 온라인 기반 시장 조사기관인 오픈서베이가 실시한 소셜미디어 이용 관련 설문조사에서도 유튜브는 40대·50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음원사이트처럼 이용하는 중장년층도 많다. 지난 3월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15세 이상 10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0대의 57.5%가 ‘음악을 유튜브로 듣는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로, 40대(51.1%), 15~18세(47.5%), 30대(34.4%). 20대(27.8%)가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유튜브의 콘텐츠 중심 성장 전략이 이들을 이끈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오픈서베이 관계자는 “유튜브를 주로 이용한다는 응답자에게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콘텐츠 소비와 관련된 응답이 66%로 가장 많았다”며 “타인과의 소통채널로 쓰이는 다른 소셜미디어와 달리 유튜브는 콘텐츠 중심이라 SNS 사용에 미숙한 노년층까지 즐겨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유튜브 관계자는 “중장년층과 노년층이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가 많아졌다는 점이 이들을 유튜브로 이끈 가장 큰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며 “자신의 관심사와 노하우를 공유하거나 소통하기 위해 직접 콘텐츠 제작에 뛰어든 중장년층도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유튜브의 약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택광 교수는 “한 번 시청을 시작하면 입맛에 맞는 동영상이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자칫 편향된 내용의 콘텐츠에만 매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유진 기자 yjle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