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0평 부모님의 정원에 카페를 지은 목수 아들
![]() |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 가는 길을 지나 굽이 굽이 산골자기 외길을 오르면 ‘모네의 정원’을 연상케 하는 아름다운 숲속 정원이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 그 안에 몸과 마음을 푹 쉬고픈 공간 가 있다. 6년차 목수 고병율씨가 숲해설가 부모님의 20년 된 정원에 직접 짓고 가구를 만들어 운영하는 카페다.
천천히 채워나가는 공간
고 대표는 ‘러스틱(rustic)’의 의미처럼 시골스러우면서도 부모님이 오랫동안 가꾼 한국적인 정원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공간 콘셉트를 그리고 지우는 과정만 6개월, 모든 구상이 나온 뒤 큰 골조를 짜는 데는 1개월로 충분했지만 그가 생각하는 러스틱라이프를 완성하기 위해 가구, 인테리어까지 손수 제작하다 보니 지난 5월 정식 오픈하기까지 1년 여 시간이 걸렸다. 물론 여전히 현재진행형으로 이곳 저곳 손을 보고 있다. 부모님이 조금씩 정성을 쏟아 정원을 가꿨듯, 고 대표도 더디지만 천천히 러스틱라이프를 채워나가고 있다.
![]() |
나누고 싶었던 할아버지의 툇마루
가을 빛으로 물든 부모님의 정원을 지나 돌담과 넝쿨로 둘러싸인 러스틱라이프 문을 열면 나무로 짠 그의 가구들이 반긴다. 중앙에 위치한 널찍한 평상 형태 좌석은 고 대표가 어린 시절 할아버지댁 툇마루에 앉아 놀던 기억을 담아 만들었다. 이런 구조는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 때문에 대개의 카페들이 꺼리지만, 고 대표는 어렴풋하지만 따듯하게 남아있는 자신의 추억을 손님들과 나누고 싶었다. 이 외에 작은 숲속을 꾸민 테라리움 테이블, 맷돌 모티프의 탁자, 자갈 돌이 깔린 바닥, 한복 소재의 오브제 등을 인테리어 요소로 활용해 한국적인 정겨운 분위기를 강조했다.
![]() |
나누고 싶었던 홍천의 것들
러스틱라이프의 커피는 머신을 쓰지 않고 오직 드립으로 내린다. 한적한 시골 분위기를 잇기 위해 조금 손이 많이 가더라도 잡음을 내고 싶지 않았다는 고 대표의 섬세한 배려다. 이 외에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인 꿀오미자, 오미자에이드는 홍천의 산물인 오미자와 아버지가 직접 양봉 한 꿀로 만든다. 목련꽃차 역시 주변 농장에서 재배하는 꽃차 잎을 쓴다. 홍천에서 나고 자란 로컬 식재료를 최대한 활용해 이곳만의 특별함을 더하고 싶었다는 고 대표.
![]() |
어쩌다 카페를 짓기까지
자칭 ‘시골생활자’ 고 대표는 너무 열심히 일하지 않는, 삶의 균형이 맞는 소박한 시골살이를 지향한다. 그래서 소싯적 카페를 열고 싶다는 거창한 로망도 없었고, 자신이 건축 일을 하게 될 줄도 몰랐다는 그. 30대 초 고 대표가 목공 일을 배우게 된 건 그저 본가인 홍천, 시골에서 자리 잡기 위해 나름의 기술이 필요해서였다. 항상 손 볼 곳이 있는 시골에서 굶어 죽지 않을 최고의 기술 중 하나로 목공이 꼽혔다. 그렇게 막연한 호기심과 필요에 의해 국비 지원 사업으로 배운 첫 번째 일이 한옥 목공이다.
![]() |
처음에는 맞지 않는 일 같아 포기하려고도 했다. 그러나 지인을 도와 몇 가지 작업을 진행하니 그의 ‘감’을 인정해주는 사람이 여기저기 생겨났다. 자연스럽게 목공에 재미와 보람을 느끼기 시작한 고 대표는 목조 주택, 인테리어, 정원사 기술에 이르며 5~6년 간 배움에 매진했다. 이후 정신을 차리고 보니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의 청년창업 공간재생 지원 사업*에 참여해 러스틱라이프를 짓고 있었다고.
*청년창업 공간 재생 지원 사업이란, 강원도의 유휴공간을 보존하고 활용해 새로운 지역 가치를 창출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청년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
13,000평 버려진 땅을 맨손으로 가꾼 부모님
“정원을 가꾼다는 건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에요. 어떤 날은 울면서 가꾸기도 했죠. 돈 벌 생각이면 하지 못했을 거에요. 그저 좋았으니 20년 간 꽃과 나무를 심고 가꾼거죠”
고 대표 어머니의 이야기다. 공간은 만들 수 있지만 러스틱라이프를 둘러싼 13,000평의 정원을 가꾸는 건 1년 만에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지금의 숲속 감성을 낼 수 있던 건 이미 자연과 더불어 살아온 부모님의 역할이 컸다. 꽃과 나무를 너무 좋아해 춘천 지역 모임 ‘우리꽃사랑모임’ 회원으로 오랫동안 활동하고 춘천 용화산 숲해설사까지 자처했던 고 대표의 어머니와 강원도청 농업부 국장을 맡았던 전직 공무원, 현직 숲해설가인 아버지의 20년 세월 합작이다. 고 대표의 어머니는 아버지가 정년 퇴직하기 15년 전 그를 설득해 선조 때부터 갖고 있던 터에 집을 짓기로 했다. 좋아하는 꽃과 나무를 마음껏 만지고 싶어서였다. 그리고 여력이 될 때마다 집 주변 산과 땅을 조금씩 사들여 정원을 가꿨다. 폐비닐이 널부러진 버려진 땅을 고 대표의 어머니가 맨손으로 가꾼 셈이다.
![]() |
방치돼 있던 공간의 원형을 살려 카페로
“공간 자체에 욕심이 큰 편이죠”
인터뷰 내내 겸손으로 일관하던 고 대표가 유일하게 눈을 반짝이며 전한 소신이다. 그가 러스틱라이프를 얼마나 소중히 지었을지 이 한 마디로 느껴진다. 러스틱라이프가 지어진 위치는 고 대표의 부모님이 15년 전 집을 지을 당시 농업용 창고로 쓰려고 만든 여분의 공간이었다. 고 대표는 방치 상태였던 이 유휴 시설을 잘 다듬어 카페로 개조하기로 했다. 본래 공간의 특색을 유지하기 위해 큰 틀을 허물지 않는 것이 그의 1차 목표였다. 비용 절감 면에서도 탁월한 선택이었다.
여기에 건물 전면에만 작은 돌로 기둥을 세우고, 정원이 잘 보이는 창을 내는 식으로 시골 분위기를 더할 요소를 더했다. 또 부모님이 농업용 창고를 만들 당시 지붕 위를 평평하게 해 작은 집터로 활용하려 한 위치에는 화덕, 가마솥, 그늘 막 등을 손수 만들어 숲속에 둘러싸인 하나뿐인 야외 테라스를 완성했다.
![]() |
카페 주인장에 대한 로망은 없었다지만 공간에 대한 욕심만큼은 뚜렷했던 고 대표. 단순히 부모님의 정원 속에 카페를 지을 생각이었다면 업체에 맡기는 편이 몸과 마음이 편했을 수 있다. 하지만 고 대표는 자신의 머리 속에 있는 것을 다른 사람의 손을 빌려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 정성 덕에 러스틱라이프는 쉬 발길 닿기 힘든 곳에 있음에도 오픈한 지 1년도 안되어 입소문을 타고 각지에서 손님들이 찾아오는 곳이 됐다. 이제 고 대표는 주차 공간, 좌석 부족 등 초보 창업자로서의 시행착오를 하나씩 해결해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아이들을 위한 양봉 체험장, 요정 집, 멍하니 별을 구경하는 ‘별멍’ 구역, 내추럴 와인과 함께 캠프 파이어를 즐기는 곳 등 목수로서의 무궁무진한 공간 계획도 갖고 있다. 다시 찾을 러스틱라이프의 모습이 더 기대될 수밖에.
![]() |
Tip. 시골 집에 카페를 내고 싶다면 시골의 어떤 공간이건 그 공간과 주변만의 특색이 있다. 그것을 강조할 방법을 오랫동안 관찰하고 찾아내는 것이 먼저다. 이를 무시하고 요즘 도시에서 유행하는 것들을 무작정 가져오면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또 초보 창업자라면 지역 지원 사업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은 물론 흐름을 읽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래 살던 공간에 카페를 차릴 계획이라면 주거 공간과 상업 공간을 구분 짓는 것도 중요하다. 카페와 집으로 들어서는 길이나 입구를 다르게 하거나 집 주변에 울타리를 치는 방법이 있다.
러스틱라이프 구경하기 >> www.instagram.com/rusticlife_cafe
기획 임소연 사진 지다영(스튜디오 텐)
추천기사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