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컬처]by 중앙일보

퇴임 후 산골로 간 이재철 목사 "거침 없이 나를 버려달라"

“여러분은 지금부터 이재철을 거침없이 버리셔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내려주시는 새로운 차원의 은혜를 원하신다면 이재철을 버리시되, 적당히가 아니라 철저하게 버리셔야 합니다.”


지난해 11월18일 이재철(70) 목사는 퇴임하던 마지막 주일 설교에서 이렇게 말했다. 당시 100주년기념교회의 교인 수는 1만3000명이었다. 허울뿐인 명목 교인 수가 아니라 실질적인 출석 교인 수다. 자신이 개척한 교회에서 13년4개월 동안 담임목사를 따르던 교인들에게 그는 “나를 철저하게 버려달라”고 당부하고, 또 당부했다.


그리고 자신의 뒤를 이어 교회를 책임질 ‘4인 공동 담임목사들’에게 힘을 실어 줄 것을 간곡하게 요청했다. 퇴임 설교가 끝나고 이 목사는 교인들과 작별했다. 큰 교회를 일군 담임목사들이 퇴임식 때 관행적으로 받는 수억 내지 수십억 원에 달하는 전별금도 없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철 목사는 “한반도 어느 곳이든 평당 10만 원짜리 땅이 나오는 곳을 생의 마지막 정착지로 삼아서 보내겠다. 굳이 ‘평당 10만 원’이라고 특정한 이유는 그 정도 가격이라야 저희 부부 형편에 맞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어떤 형태의 공식적인 퇴임식도 없었다. "목사에게 퇴임식은 어울리지 않는다"는 게 그의 소신이었다. 교인들은 주일 마지막 4부 예배가 끝날 때까지 귀가하지 않고 기다렸다. 마지막 예배를 마치고 교회를 나서는 이 목사를 배웅하며 교인들은 가슴으로 울었다. 그가 걸어왔고, 또 걸어갈 걸음걸이가 자신들이 그리스도를 향해 나아가는 길에서 ‘드물고도 귀한 이정표’가 되기 때문이었다.


이 목사는 지인들과 작별 인사를 마치고 서울을 떠났다. 차를 타고 경상남도 거창군의 산중턱에 도착했을 때는 새벽 1시30분이었다. 이 목사 부부는 거창군 웅양면의 해발 560m 산동네에 ‘평당 10만 원짜리 땅’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집을 지었다. 처음에는 컨테이너 2개 동을 갖다 놓고 살 참이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교회 교우 중에 건축설계사(지음재 아키텍츠 이재성 대표)가 있었다. 그가 “제 아내도 투병 중이다. 암 투병 중인 목사님이 산골의 추운 집에서 살면 어떡하느냐”며 외풍이 없는 집을 기어코 설계해 주었다. 한사코 거절하던 이 목사도 끝내 못이기고 수락했다. 이재철 목사는 2013년 암 수술을 한 뒤 방사선 치료를 31차례 받은 바 있다. 물론 집의 시공 비용은 모두 이 목사 부부가 댔다. 그것도 대출을 받고서야 겨우 해결했다. 남은 대출은 이 목사의 사모가 출판사 월급으로 갚아나갈 참이다.


담임목사 시절에도 그는 자신의 월급을 교인들에게 모두 공개했다. 담임목사와 부목사간의 월급 차이는 고작 10만원이었다. 퇴임하던 해에는 후임 공동 담임목사들과 자신의 월급이 똑같았다. 그의 목회는 검소했다. 그러나 영성은 풍성했다.


지난해부터 인터뷰 요청을 했지만 이재철 목사는 몇 번이나 거절했다. “나는 서산으로 넘어가는 해일 뿐”이라며 조용한 마무리를 다짐했다. 그렇다고 그냥 보내기에는 너무 아쉬웠다. 그가 길어 올리는 ‘영성의 울림’이 우리의 아픔을 적시고, 우리의 목마름을 적시고, 우리의 삶을 적셔주기 때문이었다. ‘삼고초려’를 거듭한 끝에 결국 거창의 산골로 내려갔다.


15일 김천구미역에서 1시간 가까이 차를 달렸다. 진눈깨비가 내렸다. 굽이굽이 산골짜기였다. 산 중턱에 자리한 마을 어귀에는 500년 된 느티나무가 우두커니 서 있었다. 40가구가 사는 이곳에서 이 목사 부부는 ‘마을 주민’으로 살고 있었다. 마을 회의에도 꼬박꼬박 참석하고, 동네 주민들과 왕래하며 생활했다. 이 목사의 집에는 담벼락도 없었다. “마을 사람 속으로 녹아들기 위해서”라고 했다. 이재철 목사에게 뒤늦게 물었다. 왜 자신을 거침없이 버리라고 했는지.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퇴임 설교에서 왜 “이재철을 거침없이 버리라”고 했나.



A :

이 목사에게 이런 식의 ‘자기 버림’은 처음이 아니다. 1988년 서울 정신여고에서 주님의교회를 개척해 출석 교인 3200명의 묵직한 교회로 키운 뒤에도 “딱 10년만 하겠다”는 첫 약속을 지키고 담임목사직을 내려놓았다. 스위스 제네바의 한인교회에 가서도 그랬다. 3년에 걸쳐 미자립 교회를 자립 교회로 탈바꿈시킨 뒤에 이 목사는 거침없이 교회를 떠났다. 자기 버림의 뿌리를 묻자 이 목사는 책장에서 성경을 꺼냈다. 요한복음 16장7절이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십자가 고난을 당하시기 직전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그러나 내가 너희에게 실상을 말하노니, 내가 떠나가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이라. 내가 떠나가지 아니하면 보혜사(성령)가 너희에게 오시지 아니할 것이오, 가면 내가 그를 너희에게 보내리니.’”




Q : 무슨 뜻인가.



A :


Q : 그런 사례가 많지는 않다. 교회가 클수록 원로목사로 남아서 ‘상왕(上王) 노릇을 하거나, 심지어 자식에게 교회를 세습하기도 한다. 왜 그런가.



A :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말끝에 이 목사는 “1류 도공과 3류 도공의 차이가 뭔지 아느냐?”고 물었다.




Q : 그 차이가 뭔가.



A :


Q : 사람들은 ‘버림’을 힘들어한다. 왜 그런가.



A :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서울을 버리고 거창에 왔다. 도시를 버리고 산골에 왔다. 무엇이 열렸나.



A :

이 목사는 산골에 내려와서 쓴 자작시를 한 편 보여주었다. 제목이 ‘바람’이었다. 그 시는 거창의 산골에서 산과 나무와 대숲 소리로 자신을 관통하며 쉼 없이 불어대는 ‘하나님의 숨결’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 목사는 “내가 100주년기념교회 목회를 안 했거나, 은퇴 후에 합정동 살던 집에서 계속 살았더라면 어땠을까. 이렇게 하늘과 땅을 되찾는 인생의 마무리를 할 수 있었을까. 그걸 생각하면 참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삶이 ‘모래시계’라고 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인생이 왜 ‘모래시계’인가.



A :


Q : 어떻게 다른가.



A :

인터뷰를 마치고 산을 내려오는 길, 이재철 목사의 자작시 '바람'을 꺼내 읽었다. 거기에는 '거침 없이 버려본' 이가 노래하는 버림 이후의 영성이 오롯이 흘렀다. 그것은 바람보다 거세고 , 바람보다 깊고, 바람보다 고요한, 그런 바람이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람


이재철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


바람이 불지 않는다


그래도 살아야겠다


하고,


로트레아몽은


좌절과 절망을 노래했지


하지만 나는,


바람이 불지 않는 날에도


바람이 분다


그래서 오늘도 산다


바람,



생명의 근원


지혜의 숨결


(2019년 1월 11일)


거창=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