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여행]by 중앙일보

상춘객 차량들 왜 4㎞ 줄설까…서산 백년 고택 ‘수선화의 기적’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기방가옥. 낯선 이름의 시골집이 올봄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유기방가옥은 충남 서산에 자리한 백 년 묵은 고택이다. ‘충남 30경(景)’은커녕 ‘서산 9경’에도 들지 않은 곳인데, 전국에서 몰려온 상춘객으로 북새통이다. 이유는 하나. 고택 들어앉은 산자락을 노랗게 물들인 수선화 덕분이다. 천상의 화원 같은 풍경으로 명성을 얻긴 했지만, 이 집의 자세한 내막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2021년 봄 SNS를 도배한 사진 이면의 사연이 궁금했다.



음침했던 대나무숲이 꽃밭으로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기방가옥은 유기방(73)씨가 사는 집이다. 유기(鍮器)그릇을 만드는 방(房)으로 착각하는 사람도 있다는데, 유기방가옥은 유기와 전혀 관계가 없다. 고택은 1919년에 지었다. 2005년 충남 민속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됐는데, 전국적 관심을 끈 건 비교적 최근 일이다. 물론 수선화 때문이다.


인근 가좌리에서 벼농사를 짓던 유씨는 약 23년 전 종갓집인 이곳에서 살기 시작했다. 장자가 아니었지만, 집안 어른의 신망을 얻어 종갓집에 들어올 수 있었다. 어른의 믿음처럼 그는 종가집을 아끼며 여태 고향을 지키고 있다. 23년 전 집에 들어올 때 마당에 피어 있던 수선화 몇 송이가 유씨의 눈에 들어왔다. 방긋 웃는 아이 얼굴 같으면서도 자신처럼 생명력이 강해 마음에 들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ip!

이 쯤에서, 여행지가 더 궁금해졌다면?!

호텔 예약은 호텔스컴바인에서! 


“뒷산에 유독 대나무가 많았는데 골칫거리였어요. 뿌리가 담을 헐기도 하고, 소나무를 고사시키기도 했죠. 대나무의 음침한 기운도 영 싫더라고요. 그래서 닥치는 대로 베고 그 자리에 수선화를 심기 시작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농사만 지은 그가 조경과 원예를 알 리 없었다. 오직 수선화만 심었다. 농사하듯 1년 내내 수선화를 돌보고 증식하는 데 골몰했다. 어느새 수선화밭이 고택 주변을 환하게 밝히더니 야산 전체로 번졌다. 약 8만2000㎡(2만5000평) 부지 중에 6만6000㎡(2만평)가 꽃으로 덮였다.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드라마 ‘직장의 신(2013)’과 ‘미스터 선사인(2018)’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서산뿐 아니라 전국에서 사람들이 찾아들었다. 2018년 봄부터 고택 보존과 수선화 관리를 위해 입장료(5000원)를 받기 시작한 이유다.



“수선화가 힘내라고 합창하는 것 같아.”


유기방가옥은 수선화가 피기 시작할 때부터 한 달 남짓 입장객을 받는다. 올봄은 개화가 빨라 3월 12일 개방했다. 이달 말까지 문을 열어둘 참이다. 수선화가 만개한 요즘은 평일에도 주차장에 차 대기가 쉽지 않다. 주말에는 방문객이 1만 명이 넘고, 자동차로 약 4㎞ 거리인 서산IC부터 길이 막힌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일도 마찬가지였다. 인파를 헤치고 고택을 구경했다. 유씨 말마따나 유기방가옥은 청와대나 강릉 선교장이 부럽지 않은 명당이었다. 솔숲이 아늑하게 집을 감싸 안았고 남쪽으로 시야가 탁 트였다. 수백 년 역사를 자랑하는 나무도 많았다. 317년 전 제주도에서 옮겨다 심은 비자나무, 수령 400년에 달하는 감나무가 묘한 기운을 내뿜었다.


주인공은 역시 수선화였다. 집에 들어설 때부터 농밀한 꽃향기가 코를 찔렀다. 꽃 모양 때문인지 지상에서 수천만 개 별이 반짝이는 것 같았다. 수선화를 보며 수채화를 그리던 오영숙(59)씨는 “한국에서 이렇게 멋진 꽃 군락지는 보지 못했다”며 “그림을 그리며 천천히 풍경을 음미하니 더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찾으니 마냥 좋을 것 같지만 유씨는 시름이 깊다. 갑작스레 늘어난 인파를 감당하기엔 주차난이 심각한 까닭이다. 화장실도 부족하다. 사람들이 사진 찍느라 꽃을 짓밟는 모습을 볼 때면 가슴이 쓰리단다. 그런데도 유씨는 수선화 얘기를 할 때만큼은 해맑은 표정을 지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식처럼, 황금처럼 수선화를 아꼈더니 이제는 내가 저들에게 위로를 받아요. 어떨 때는 날 보고 합창하는 것 같아요. ‘아빠, 힘내세요. 우리가 있잖아요.’ 왜 그런 노래 있잖아요.”


서산=글·사진 최승표 기자 spcho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ip!

여행 계획의 시작! 호텔스컴바인에서

전 세계 최저가 숙소를 비교해보세요. 

오늘의 실시간
BEST

joongang
채널명
중앙일보
소개글
신뢰할 수 있는 뉴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