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라이프]by 조선일보

취향 담은 월세방, 갤러리 품은 7평 집… 그들의 ‘주거 실험’

집은 공간이라는 형식으로 구현된 삶이다. 여기 이 명제를 실천한 두 남자가 있다. 전세방 인테리어로 자신만의 공간을 꾸민 ‘첫 집 연대기’(웨일북) 저자 박찬용(38)씨. 그리고 아파트, 빌라, 한옥을 거쳐 협소주택에 정착한 ‘집을 쫓는 모험’(브.레드) 저자 정성갑(45)씨. 마침 둘 다 잡지 에디터 출신이고 둘 다 집 이야기를 최근 책으로 냈다. 셋방도 좁은 집도 취향을 담은 보금자리가 될 수 있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조선일보

'첫 집 연대기'의 배경이 된 서대문구 전세방에 앉은 박찬용씨. 이 집에 살기 위해 도배를 했고 화장실을 고쳤다. 바닥에 원목 마루를 깔기 위해 시공 전문가까지 구했으나 집 주인이 장판을 깔아 주는 바람에 마루는 포기했다. /장련성 기자

전세방에서의 취향 실험

서울 서대문구 언덕배기 단독주택 2층의 박찬용씨 방에는 어찌할 수 없는 낡음의 흔적들이 곳곳에 뚜렷했다. 동시에 이 방엔 단지 낡기만 한 여느 셋방들과는 분명 다른 점도 있었다. 예컨대 화장실 바닥의 적갈색 타일은 어느 건축 자재 도매상에 남아 있던 이탈리아제를 발품으로 구해다 깐 것이다. 스위스제 의자나 아일랜드산 대리석 북엔드처럼 틈틈이 사 모은 물건들이 남다른데 책장·옷장과 침대는 이케아 제품이다. 큰 가구는 형편에 맞게 저렴한 것을 사되 “최대한 서글픈 티가 덜 나게” 흰색으로 통일했다고 한다.


박씨는 2017년부터 이 방에서 살고 있다. 부모님과 살던 아파트에서 독립하면서 “넓고 마당 있는 집에서 살고 싶어서”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35만원을 주고 계약했다. 인테리어에 돈을 들였지만 박씨는 “4년 동안 월세를 조금씩 더 냈다고 생각하면 전혀 아깝지 않다”면서 “인테리어 공사를 또 한다면 덜 헤맬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박씨는 “이 집이 라이프 스타일의 어떤 대안이라고 주장할 생각은 전혀 없다”면서도 이 집의 의의를 “저성장 시대의 취향 추구 실험”으로 정리했다. “저희 세대는 높아진 눈만큼 잔액은 올라가지 않은 채로 어른이 돼 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젊은 어른’들이 어떻게 살 수 있을지 개인을 재료로 실험을 한번 해본 셈이죠.”


집이 달라지면 생활도 달라진다. 박씨는 이 집에 살면서 “챙겨줄 사람이 없으니 운동도 더 하고 건강에 신경 쓰게 됐다”고 했다. 배달 음식도 줄였다. 아파트와 달리 이곳에선 음식을 받으려면 외부 계단을 내려가 대문까지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서울 누하동에 지은 주택 3층 주방에 선 정성갑씨. "한 번 더 짓는다면 더 잘 지을 수 있을 것 같다. 집을 지은 게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고 했다. /김지호 기자

아파트 대신 협소 주택

종로구 ‘서촌’에 있는 정성갑씨네 3층집은 좁았다. “땅이 18평, 1층 7평, 2층 6평, 3층은 8평”이라고 했다. 1층은 거실이자 정씨가 대표로 있는 한 점 갤러리 ‘클립’, 2층은 두 딸의 방, 3층은 주방과 안방이다. 창 밖으로 인왕산과 300년 된 배화여대 회화나무가 보였다. 정씨는 “집이 좁아서 창문을 크게 냈는데 운 좋게 좋은 풍경을 담은 액자처럼 보인다”고 했다.


정씨는 “협소주택에도 중요한 공간 한두 곳은 확보할 수 있는 것 같다”고 했다. 이 집에선 갤러리와 욕조가 그런 곳이다. 갤러리는 1층의 1평 정도를 비워서 사진·공예 등 작품을 1점씩 선보이고 판매하는 공간이다. 2층 화장실은 세면대도 밖에 둘 만큼 좁지만 목욕 좋아하는 가족들을 위해 욕조를 3층 주방 옆에 따로 만들었다.


2019년 가을 이 집을 짓기까지 정씨는 아파트, 빌라, 한옥에 살았다. 이사를 다니며 “아파트는 나하고 안 맞는다는 걸 알게 됐다”고 했다. “아파트 사는 동안 좋았던 건 가격이 오른다는 사실이었지만, 답답했어요. 그땐 몰랐는데 한옥에 살면서 알게 됐죠. 밖에서 스트레스 받아도 마당에서 몸을 움직이고 바람을 쐬면 자연스럽게 풀리곤 했는데 아파트엔 그런 충전되는 느낌이 없어요.”


책에서 그는 아파트를 사고팔아 돈 벌고 손해 본 얘기, 집 짓는 데 땅값까지 6억원 정도 들어간 내역까지 상세하게 밝혔다. 한국에서 환금성은 주거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지만 정씨는 집을 지으며 그 점은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다. “환금성이란 건 2~3년 뒤에 어떻게 될지 모르는 거잖아요. 그 막연한 미래를 위해 사는 삶보다는 오늘, 이번 주말, 이 계절에 느끼는 행복이 저에겐 더 중요합니다.” 채민기 기자


[채민기 기자]

오늘의 실시간
BEST

chosun
채널명
조선일보
소개글
대한민국 대표신문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