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자동차]by 한국일보

"순두붓집에서 태어난 자율주행 로봇"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

손꼽히는 구글 개발자 출신, 순두붓집 운영하며 로봇 개발

알아서 장애물 피해 가는 자율주행 로봇 만들어 수출

요즘 세상은 로봇 전쟁이다. 산업 현장에서 제품을 만드는 로봇부터 전선을 누비는 군사용 무인 드론, 호텔과 공항, 식당 등에서 마주치는 각종 서비스 로봇까지 곳곳에서 로봇을 만날 수 있다. 그만큼 로봇이 사람들과 밀접한 존재가 되면서 관련 신생기업(스타트업)들도 주목을 받고 있다.


구글에서 잘나가는 개발자였던 하정우(46) 대표가 2017년 설립한 베어로보틱스도 그중에 하나다. 식당에서 음식을 나르는 로봇 '서비'를 개발한 이 업체는 지난 3월 1,000억 원 등 지금까지 미국 유명 투자업체 클리블랜드애비뉴, 소프트뱅크, KT, 스마일게이트, IMM인베스트먼트 등 국내외 업체로부터 1,400억 원 이상을 투자받았다. 이토록 많은 투자를 받은 것은 성장성을 높게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하 대표의 남다른 로봇 개발담과 웅대한 계획이 숨어 있다.


한국일보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가 서울 성수동 한국 사무실에서 직접 개발한 서빙 로봇 '서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하겸 인턴기자

'인생 전환점 된 바보 같은 결정' 순두붓집 사장 된 구글 개발자

하 대표는 스스로 소프트웨어 개발 장인이라고 자부한다. 그럴 만한 것이 서울대 컴퓨터공학과를 나온 그는 1998년 국내 최초의 애플 컴퓨터 총판이었던 서울 용산의 엘렉스 컴퓨터에서 개발자로 병역 특례를 마쳤다. "5년간 각종 소프트웨어와 통신장비 라우터 등을 개발했죠."


원래 꿈은 교수였다. 이를 위해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학에 유학 가서 컴퓨터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런데 대학 부설연구소와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였던 미국 인텔 연구소에서 연구원을 해보니 학술 연구가 맞지 않았다. "현실적인 사람이어서 당장 현안 문제를 푸는 것이 잘 맞았죠. 그래서 교수의 꿈을 접었어요."


강단 대신 선택한 곳이 미국 구글이었다. "구글에서 손꼽히는 자바 개발자로 6년간 일했어요." 거기서 그는 일생일대의 실수 아닌 실수를 했다. "투자 삼아 샌프란시스코에 순두붓집을 열었어요. 식당을 차리면 저절로 돌아가는 줄 알았죠. 바보 같은 결정이었죠. 그런데 이 결정이 인생의 큰 전환점이 됐어요."


원래는 포장마차를 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건물주가 싫어했다. "건물주는 유명 상점이 들어오기를 원했어요. 그때 첫 번째 실패를 맛봤죠. 마침 순두붓집 매물이 나와서 하게 됐어요."


막상 식당을 해보니 너무 힘들었다. 일손이 부족해 그가 직접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주방에서 요리를 만들고 음식을 날랐다. 새벽에 장도 봤다. "매일 장을 봐서 250㎏의 야채를 날랐어요. 아프지 않은 뼈마디가 없었죠. 종업원은 쉴 수 있지만 저는 그렇지 못했어요. 직접 순두부찌개 소스까지 개발했죠. 그때 로봇의 필요성을 절감했어요."

“절박했기에 도전했다”

하 대표는 그때부터 로봇 공부를 시작했다. 구글 내부의 로봇 전문가들을 만나 자문을 구하고 독학했다.


그리고 수많은 음식점을 방문해 일하는 사람들을 붙잡고 어떤 로봇이 필요한지 물었다. "멕시코 음식점 칠리스 매장을 방문해 종업원에게 어떤 로봇이 필요하냐고 물었더니 갑자기 울음을 터뜨렸어요. 매장에서 매일 8㎞씩 걷는데 무릎이 너무 아프다며 일을 도와주는 로봇이 나오면 회사에 충성하겠대요. 그 얘기를 듣고 로봇을 꼭 만들어야겠다고 결심했죠."


그만큼 그는 로봇 시장에 확신이 강하다. "시장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좌절할 수밖에 없죠. 순두붓집을 하며 시장을 조사해 보니 900조 원이 넘는 세계 외식업 시장에서 인건비가 30%를 차지했어요. 그런데도 외식업은 항상 일손 부족에 시달려요. 이 부분을 로봇으로 보완하려면 구글 크기의 회사가 수십 개 필요하다는 계산을 했죠. 그때 기술과 외식업을 모두 아는 사람이 많지 않으니 직접 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느꼈어요."


하지만 구글을 퇴사할 때 고민이 많았다. "기대와 불안이 교차하면서 매일 천당과 지옥을 오갔어요. 주변에서 대부분 퇴사를 말렸지만 순두붓집 직원들은 창업을 격려했죠."


결정적으로 구글 퇴사에 영향을 미친 것은 기회비용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였다. "큰 회사에 오래 있는 것이 자기 개발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어요. 정체되는 만큼 새로운 기회를 잃어버리죠. 구글을 그만둔 덕분에 성장했어요. 절박했기 때문에 도전했죠."

속아서 시작한 로봇 개발

그는 로봇 개발에 대해 "속아서 시작했다"고 운을 뗐다. "전시회 등에서 로봇 시연하는 것을 보고 속았어요. 시연용 로봇 한 대는 만들 수 있는데 수십, 수백 대를 양산하는 것은 돈과 사람이 많이 필요한 힘든 일이죠. 이를 사전에 알았으면 하지 않았을 겁니다."


원래 계획은 로봇을 외부에서 구입하고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만 개발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적합한 로봇이 없어서 직접 로봇까지 만들었다. 그렇게 하 대표는 2017년 1월에 구글을 그만두고 5월에 회사를 창업했다. 구글의 로봇과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가들이 속속 합류했다.


양산형 로봇이 처음 나온 것은 지난해 3월이다. "로봇 설계는 1년 걸렸는데 양산에 4년 걸렸어요." 처음 개발한 로봇을 순두붓집에서 1년간 시험 삼아 운용했다. "식당은 독자 요리법을 개발한 뒤 매출이 오르고 흑자가 났죠. 하지만 로봇 사업 때문에 2018년에 급히 팔았어요."


한국일보

서울 성수동 베어로보틱스 사무실에서 자율주행 로봇 서비가 음식을 나르는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김하겸 인턴기자

사람의 발 밟지 않는 자율주행 로봇 개발

하 대표는 본사를 미국 캘리포니아 레드우드시티에 두고 서울 성수동에 개발자들이 포진한 국내 지사를 마련했다. 국내 지사에 가면 그가 개발한 서빙 로봇 '서비'를 볼 수 있다.


국내 지사에서 만난 서비는 약 1m 높이의 둥그런 원기둥처럼 생겼다. 여기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원형 선반이 붙어 있어서 4인분 음식을 얹고 액정화면을 눌러 식탁 번호를 입력하면 부드럽게 움직이며 알아서 식탁을 찾아 간다. 선반에 압력 센서가 달려 있어 음식을 집어 들면 다시 복귀한다. 중간에 장애물이 나타나면 스스로 피해 로봇이 여러 대 움직여도 서로 충돌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로봇에 아래와 전방을 살피는 카메라 2대가 달려 있고 레이저로 공간을 파악하는 라이다 센서가 장착됐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로봇의 자율주행 능력, 즉 '로봇의 아이큐'다. 서비는 일부 저가 로봇과 달리 인공지능(AI)이 최적 경로를 스스로 파악한다. "서비를 처음 설치할 때 공간을 스캔해 지도를 그리듯 인식해요. 여기에 사람이 주방과 식탁 위치 등을 입력하면 알아서 최적 경로를 찾죠. 반면 일부 중국산 저가 로봇은 천장에 스티커를 붙여 놓으면 이를 따라 움직여요. 스티커 범위 밖으로 나가지 못해 장애물 회피가 안 되죠."


그래서 하 대표는 서비가 사람의 발을 밟지 않는 유일한 로봇이라고 주장한다. "일부 다른 로봇은 장애물을 피하지 못해 사람의 발을 밟고 넘어가거나 서로 부딪치기도 해요."

식당 경험 반영된 콜라가 스며들지 않는 로봇

로봇 개발에는 하 대표의 식당 운영 경험이 녹아 있다. 대표적인 것이 틈이 없는 로봇이다.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위생이죠. 서비는 틈이 없어요. 이게 중요해요. 틈이 있으면 생쥐 또는 바퀴벌레나 곤충들이 들어가 알을 깔 수 있어요. 만약 로봇 틈새로 들어간 벌레나 쥐가 발견되면 미 보건복지부 공중위생국에서 식당 영업을 정지시켜요. 그래서 틈을 모두 없애고 로봇에 콜라를 부어 스며드는지 확인했어요. 틈이 없어 일어날 수 있는 발열 문제는 열 분산 기술로 해결했죠. 이를 통해 서비스 로봇으로는 세계 최초로 미 위생협회(NSF) 인증을 받았어요.”


이렇게 개발된 서비는 국내와 일본, 미국에서 팔리고 있다. 국내와 일본은 KT와 소프트뱅크로보틱스가 유통을 맡고 미국에서는 베어로보틱스에서 직접 판매한다. KT는 식당의 부담을 줄이려고 정수기처럼 월 65만 원을 받고 서비를 빌려 준다.


지금까지 전 세계에 팔린 서비는 1만 대. 이 중 2,000대가 국내 식당에서 사용 중이다.

한국 제조업의 미래 만들기 위해 국내 생산

생산은 모두 국내 위탁공장에서 한다. 부품도 전부 국산화했다. 이는 하 대표의 남다른 의지 때문이다. "부품부터 완제품까지 국내서 생산하는 생태계가 구축되면 관련 제조업체들이 발달할 수 있죠. 이를 통해 조선, 철강, 자동차에 이어 한국 제조업의 미래를 이어 가야 합니다."


그는 로봇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생각하지만 제조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많이 필요해요. 또 로봇을 설계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자동화 설비를 만들기 위한 고급 인재들이 필요하죠."


그래서 하 대표는 로봇 산업을 위한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로봇 생산이 자동화되고 규모가 커지려면 표준화가 돼야 해요. 이를 위해 정부의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죠. 또 정부에서 로봇 생산설비에 투자하는 기업들에 혜택을 줘서 유도를 해야죠. 그래야 로봇 관련 일자리가 대거 늘어납니다."


한국일보

하정우 베어로보틱스 대표는 생산 과정 등에 많은 일손이 필요한 로봇이 국내 제조업의 미래를 만들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하겸 인턴기자

한중 경쟁이 된 로봇 시장

안타까운 것은 국내 대기업들이 비용을 줄이려고 중국산 저가 로봇을 수입해 팔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여러 대기업과 대형 유통기업들이 중국산 로봇을 팔아요. 기술력은 국산 로봇이 앞서지만 가격은 중국 로봇이 유리하죠."


중국은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급해 로봇 가격을 낮추고 있다. "중국도 인건비가 올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의 임금이 국내 개발자보다 높아요. 그 바람에 로봇 제조원가는 큰 차이 없죠. 대신 중국 정부의 보조금 덕분에 저가에 로봇을 팔 수 있어요."


반면 미국에서는 국산 로봇이 유리하다. "미국은 중국 로봇에 25% 관세를 부과해요. 한국산 로봇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관세가 거의 없죠. 그래서 국내에서 제조하면 미국 수출에 유리해요."


그렇기에 그는 대기업들이 로봇 생산을 포기하고 중국 로봇을 판매하는 것을 더 안타깝게 생각한다. 특히 그는 로봇 산업 생태계에 외국업체를 끌어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애플이 중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듯 외국 로봇업체들의 한국 위탁 생산을 유치해 볼 만하죠. 중국 로봇업체들이 한국 부품을 사용해 로봇을 조립하는 것도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방역 로봇도 선보인다

직원들이 힘들어 할 정도로 아이디어가 넘치는 하 대표는 벌써 다음 로봇을 개발 중이다. "연내 방역 로봇과 차세대 서빙 로봇 2종 등 총 3종류의 로봇을 더 선보입니다. 새로운 서빙 로봇은 곧 미국 외식업협회전시회에서 공개해요."


KT 요청으로 3개월 만에 개발한 방역 로봇은 공기 오염을 제거하는 일을 한다. "로봇 내부에 헤파필터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걸러내고 플라즈마 모듈과 자외선(UVC) 램프로 공기와 바닥의 세균을 살균하죠. 관공서, 공원, 지하철역 등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 자율주행하며 소독하는 일을 할 겁니다."


로봇 소프트웨어도 수출한다. 대표적인 것이 일본 노래방 로봇이다. "일본 소프트뱅크로보틱스에서 노래방에 음식을 나르는 로봇을 개발했어요. 여기 들어간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제공했죠."


하 대표는 지속적인 로봇 개발을 위해 인력을 늘릴 예정이다. 현재 직원은 한국과 미국 합쳐 약 200명이다. 여기에 올해 200명을 더 뽑아 40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스타트업은 대기업처럼 관리를 하지 못해 한 명 이상의 몫을 할 수 있는 사람을 뽑는 게 중요해요. 일을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찾아서 하는 사람이 필요하죠."


매출은 공개하지 않지만 매년 80% 이상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흑자 전환했어요. 올해는 두 배 이상 성장이 목표입니다."


최연진 IT전문기자 wolfpack@hankookilbo.com

오늘의 실시간
BEST

hankookilbo
채널명
한국일보
소개글
60년 전통의 종합일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