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라이프]by 조선일보

노태우는 88올림픽, 김대중은 남북정상회담… 靑 나무엔 현대사가 있다

[나무박사 박상진이 들려주는 청와대의 대통령 나무] [下]

최규하 대통령이 1980년 4월 11일에 기념식수한 독일가문비나무. 헬기장과 녹지원 사이에 있다. /눌와

역대 대통령들이 청와대에 심은 나무를 보면 각자의 개성과 취향, 식수를 하던 당시 상황이 드러난다. 청와대 경내의 나무를 조사한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는 “기념식수가 없는 윤보선 전 대통령을 제외하고 역대 대통령 11명이 심은 나무가 청와대 곳곳에 살고 있다”며 “1980년대 이후 대통령들은 주목, 계수나무 등 보기 좋은 정원수와 아울러 상징성을 가진 나무에도 관심을 가졌다”고 했다.

조선일보

그래픽=김성규

1983년 전두환 대통령이 기념식수한 상춘재 앞의 백송. 아직 껍질이 검푸른 빛이다. /눌와

춘추관 쪽 잔디밭과 녹지원 사이의 작은 숲에는 최규하 전 대통령이 1980년 4월 기념식수한 독일가문비나무가 자라고 있다. 박 교수는 “독일가문비나무는 곧은 줄기가 아름답고 햇빛이 약해도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잘 버티지만, 잔가지가 흔히 아래로 처지는 경향이 있어 최 전 대통령이 5공 세력의 압박에 금방 굴복한 것과 비유하기도 한다”고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은 1983년 식목일 수궁터와 상춘재 앞에 백송을 한 그루씩 심었다. 수궁터 백송은 죽었지만, 상춘재 앞 백송은 지금도 살아있다.

노태우 대통령이 새 본관 건물이 세워지기 전인 1988년 식목일에 심은 구상나무의 현재 모습. /눌와


조선일보

노태우 대통령이1988년 식목일에 구상나무를 기념식수하고 있다. /국가기록원

노태우 전 대통령은 서울 올림픽 성공을 염원하는 뜻으로 1988년 식목일에 구상나무를 심었다. 구상나무는 세계 어디에도 없고 한국에서만 자라는 희귀 수목으로, 학명( Abies koreana)에도 한국을 뜻하는 ‘코레아나(Koreana)’가 들어있다. 박 교수는 “구상나무는 산꼭대기 같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데, 환갑 정도 된 이 나무가 따뜻한 서울에서도 잘 자란 것은 1991년 지어진 본관 건물 옆으로 시원한 바람골이 생겨서일 것”이라고 했다.

김영삼 대통령이 1994년 식목일 기념식수한 수궁터 산딸나무. 하얀 꽃이 활짝 핀 모습/ 눌와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은 산딸나무를 기념식수했다. 기독교 전설에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힐 때 쓰인 나무가 ‘도그우드’라 불리는 산딸나무 종류였다고 한다. 김영삼 대통령은 1994년 식목일 수궁터에 부인 손명순 여사와 함께 산딸나무 한 그루를 심었는데, 초여름에 층층으로 피는 하얀 꽃이 아름다워 눈에 띈다. 김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1993년 청와대 시화문 건너 옛 중앙정보부 궁정동 안전 가옥 다섯 채를 헐고 무궁화 동산을 만들었다. 개원식에 참석한 그는 “과거 권위주의 시대의 밀실 정치를 깨끗이 청산한다는 의미 깊은 현장”이라고 소개했다.

김대중 대통령이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기념해 2000년 6월 17일 영빈관 앞에 기념식수한 무궁화. /눌와

영빈관 앞에는 무궁화 한 그루와 ‘김대중 대통령·이희호 여사 기념식수’라는 큼지막한 돌 비석이 보인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6월 첫 남북 정상회담을 마치고 이를 기념해 18살 홍단심 무궁화를 심었다. 당시 무궁화 전문가로 잘 알려진 심경구 성균관대 교수에게 몇 번이나 경호처 고위 직원을 보내 가장 좋은 무궁화를 기증받았다고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탄핵심판 기각 직후인 2004년 5월 16일 백악정에 기념식수한 서어나무. /눌와

청와대 밖 백악정 앞에는 2004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기념식수한 서어나무가 자라고 있다. 서어나무는 꽃이 아름답지도 않고 목재로도 쓰임새가 거의 없는 평범한 나무라 대통령 기념식수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박 교수는 “대통령 기념식수로는 굉장히 이례적”이라며 “권위주의를 무너뜨리고 서민들과 눈높이를 맞추려던 노 전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연결되는 것 같다”고 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소나무를 2년 연속 심었다. 임기 첫해인 2008년 4월 정문에서 본관과 녹지원 방향으로 길이 갈라지는 삼거리 옆에 반송을 닮은 원뿔 모양 소나무 한 그루를 심었고, 다음 해 식목일에도 거의 같은 나이의 닮은 소나무 한 그루를 녹지원 서쪽 입구에 심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정치를 시작한 대구 달성에서 이팝나무를 가져다 2013년 청와대 경내에 심었다. ‘이팝나무’ 이름에는 여러 설이 있다. 배고픔에 시달리던 옛사람들은 꽃이 활짝 피었을 때의 모습에서 수북이 올려 담은 흰쌀밥 한 그릇을 연상했다고 한다. 조선 왕조 임금의 성이 이(李)씨이므로 벼슬을 해야 이씨가 주는 귀한 쌀밥을 먹을 수 있다 해서 쌀밥을 ‘이(李)밥’이라 했고, 꽃이 활짝 피었을 때 모습이 이밥 같다고 ‘이밥나무’라 하다가 이팝나무가 됐다는 설이다. 꽃피는 시기가 대체로 양력 5월 5~6일경인 입하 무렵이라 ‘입하나무’로 부르다가 이팝나무로 변했다는 설도 있다. 박 교수는 “나무에 무슨 귀족 나무가 있고 서민 나무가 있겠냐만, 굳이 따진다면 이팝나무는 배고픔의 고통을 아는 서민 나무의 대표라 할 수 있다”고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식물에 관심이 많았고 해박한 지식도 갖추고 있었다. 모감주나무를 남북 정상회담 기념으로 북한까지 가져가서 심었고 임기 마지막 해에는 청와대 경내에 기념식수하기도 했다. 2019년 4월에는 상춘재 앞에 동백나무를 기념식수했다.


[허윤희 기자]

오늘의 실시간
BEST

chosun
채널명
조선일보
소개글
대한민국 대표신문 조선일보